금감원, 9월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 발표
기업·가계대출 모두 하락
국내은행 원화대출 연체율이 3개월 만에 하락세로 전환했다. 신규 연체율이 감소하고, 금융사들이 연체 채권을 매각한 영향이다.
28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 현황(잠정)'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51%였다. 이는 전월 말 기록한 0.61% 대비 0.10%포인트 떨어진 수치다. 다만 전년 동월 대비로는 0.06%포인트 상승했다.
은행의 대출 연체율은 지난 5월 0.64%로 연중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6월 0.52%로 낮아졌다가 7월에 0.57%로 재차 올랐고 이달까지 2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 중이다.
지난 9월 중 신규연체 발생액은 2조5000억원 규모로 전월 대비 4000억원 줄었다. 같은 달 연체채권 정리 규모는 4조8000억원으로 전월(1조8000억원) 대비 3조원 늘었다.
금감원은 9월 중 신규발생 연체채권이 감소하고, 연체채권 정리규모가 확대되면서 연체율이 전월 말 대비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부문별로 보면 9월 기업 대출 연체율은 0.61%로 전월 대비 0.12%포인트 내렸다. 대기업 대출은 연체율은 0.12%로 전월 대비 0.03%포인트,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75%로 0.14%포인트 떨어졌다.
같은 기간 가계대출 연체율은 0.39%로 전월 대비 0.06%포인트 하락했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27%로 전월 대비 0.03%포인트,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신용대출 등)의 연체율은 0.75%로 전월 대비 0.17%포인트 감소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감원은 향후 경기둔화 및 대내외 불확실성 상존에 따른 연체·부실 확대 가능성에 대비하여 부실채권 상매각, 충당금 확충 등을 통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하도록 지속 유도하겠다"라고 밝혔다.
황윤주 기자 hyj@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1163만원 입금하자 돌아온 '역정'…믿고 시작한 부...
마스크영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책의 맥]정책실험, 공허한 슬로건 안 되려면](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714385845227A.jpg)
![[기자수첩]잠들지 않는 시장보다 중요한 건](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710150274909A.jpg)
![[시시비비]AI 세대와 낡은 평가 방식의 충돌](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708263103640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속보]이창용 "환율 레벨 걱정 안 한다, 해외투자 위험 관리 되고 있는지 우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109020526457_1763683325.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