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8%대↓
美금리동결·AI버블 우려 확산
미국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과 인공지능(AI) 거품 우려 등이 복합적인 악재로 작용하면서, 코스피지수가 21일 3800대까지 밀려났다. 반도체·전력기기 등 AI 관련주 중심으로 매도세가 강했다.
21일 코스피지수는 전날 대비 151.59포인트(3.79%) 내린 3853.26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지수는 96.15포인트(2.40%) 내린 3908.70으로 출발한 뒤 장중 4%대 낙폭을 기록하기도 했다. 특히 외국인이 장 초반부터 1조원대 매물을 쏟아냈고, 마감 시점까지 총 2조8289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개인과 기관은 각각 2조2920억원어치, 4955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코스피·코스닥 모두 3%대 하락 마감
코스피 지수가 장 직후 4% 넘게 하락하며 하루 만에 4000선이 무너진 21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국내 주가지수가 표시돼 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4.5원 오른 1472.4원에 개장했다. 강진형 기자
업종별로 보면 전기전자(-6.43%), 의료 정밀기기(-5.94%), 제조(-4.71%), 기계장비(-4.38%), 증권(-3.78%), 운송장비부품(-2.72%), 화학(-2.63%), 금융(-2.31%), 금속(-2.22%) 등 대부분 업종이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에선 SK스퀘어 (-9.37%), SK하이닉스 (-8.76%), 두산에너빌리티 (-5.92%), 삼성전자 (-5.77%), 한화에어로스페이스 (-5.13%), HD현대중공업 (-4.80%), 삼성전자우 (-4.37%), 한화오션 (-4.16%), 삼성물산 (-3.57%), LG에너지솔루션 (-3.51%), HD한국조선해양 (-3.11%) 등 대부분 종목이 큰 폭 하락했다. NAVER (2.14%), 기아 (0.53%) 등은 상승했다.
코스닥지수는 전날 대비 27.99포인트(3.14%) 내린 863.95에 마감했다. 이날 지수는 24.49포인트(2.75%) 내린 867.45로 출발해 낙폭을 키웠다. 외국인이 1281억원어치를 순매도했고, 기관도 791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 개인은 2200억원어치를 사들였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에선 케어젠 (14.66%), 코오롱티슈진 (11.49%), 에이비엘바이오 (0.85%), 리가켐바이오 (0.34%) 등이 상승했다. 반면 이오테크닉스 (-9.82%), 원익IPS (-6.90%), 레인보우로보틱스 (-6.52%), 리노공업 (-6.37%), 삼천당제약 (-5.80%), 에코프로 (-5.17%), 에코프로비엠 (-4.82%), 펩트론 (-4.40%), 휴젤 (-3.64%), 올릭스 (-3.62%), 파마리서치 (-3.35%), HLB (-3.13%), 알테오젠 (-2.87%) 등 대부분 종목이 하락 마감했다.
"주가 급등에 따른 단기 조정 구간…12월 FOMC까지 변동성 커"
이날 급락은 미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과 AI 거품 우려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리사 쿡 미 연방준비제도(Fed) 이사의 발언도 불안심리를 키웠다. 그는 주식, 회사채, 주택 등 여러 자산군에서 가격이 고평가돼 있고, 크게 하락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주장했다. 예상보다 양호한 9월 고용지표로 12월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약화한 점도 주식 시장의 약세를 부추겼다.
임정은 KB증권 연구원은 "엔비디아의 호실적이 AI 버블 우려를 완전히 해소하지 못했고, 시장 우려가 더욱 증폭되며 전날 상승 폭보다 더 크게 하락했다"며 "최근 증시 조정의 기저에는 매파적 Fed에 대한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12월에 인하가 없을 수 있다는 사실을 시장이 받아들이는 것이 오히려 증시 바닥을 만들 수 있다. 현재 경제 여건을 고려할 때, 내년 1월엔 인하가 불가피하다"고 전했다.
조아인 삼성증권 연구원은 "12월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전후까지 시장의 높은 변동성은 불가피해 보인다"며 "코스피가 지난달 4200포인트까지 급등했던 만큼, 단기 가격 조정 구간으로 판단한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3주 동안 9% 수준의 조정을 겪었고, 단기 달러 유동성 문제는 점차 해소될 가능성이 높다"며 "지금은 단기 유동성 시장의 안정화를 살펴보면서, 대응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대현 기자 kdh@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매일 입에 닿는데 세균·곰팡이 '범벅'…변기보다 ...
마스크영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남산길 산책]연극 공연의 '심미적 효과'](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114223776409A.jpg)
![[영상2도]](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114022073164A.jpg)
![[시시비비] 챗GPT 먹통 사태의 정치적 교훈](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111185550597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