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주식도 부동산도 아냐…직장인 '83%'가 선택한 재테크 1위 뭐길래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국내 직장인 10명 중 9명이 재테크를 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60%는 실제로 수익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르면 응답자의 92.2%가 재테크를 한다고 답했으며 가장 흔한 방식은 저축이었다.

안정형 자산이 여전히 최상위를 지켰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직장인 대상 '재테크 방식' 설문조사
가장 많이 하는 방식은 '저축'
"이익 냈다" 60%…"본전" 24%

국내 직장인 10명 중 9명이 재테크를 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60%는 실제로 수익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흔한 재테크 수단은 주식이나 코인이 아닌 '저축'이었다. 고금리·고물가 시대 속 안정형 자산이 여전히 최상위를 지키는 모습이다.


"월급만으론 답 없다"…직장인 10명 중 9명은 '재테크 중'
서울 여의도 버스환승센터에서 직장인들이 출근길에 오르고 있다.

서울 여의도 버스환승센터에서 직장인들이 출근길에 오르고 있다.

AD
원본보기 아이콘

4일 HR테크기업 인크루트가 직장인 회원 38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직장인 재테크 방식'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응답자의 92.2%가 재테크를 한다고 답했으며 가장 흔한 방식은 저축(83.0%)이었다. 안정형 자산이 여전히 최상위를 지켰다. 뒤이어 ▲국내 주식(63.5%) ▲해외 주식(43.9%) ▲펀드·상장지수펀드(ETF)(37.4%) ▲코인(30.0%) ▲현물(19.0%) ▲부동산(18.1%) 순이었다.

연령대별로는 차이가 뚜렷했다. 20대는 ▲저축(92.6%)과 ▲해외 주식(63.0%)에 적극적이었고 50대는 ▲부동산(29.6%)과 ▲펀드(37.8%) 등 전통 자산 선호가 강했다. 특히 40대는 ▲부동산(21.4%)과 ▲현물(17.1%) 비중이 고르게 분포돼 포트폴리오가 가장 다양했다.


결혼 여부에 따른 차이도 컸다. 미혼과 기혼 모두 ▲저축(미혼 88.5%, 기혼 77.1%)과 ▲국내 주식(미혼 61.7%, 기혼 65.3%)을 주요 재테크 수단으로 꼽았지만, 부동산 투자는 기혼(28.2%)이 미혼(8.7%)보다 세 배 이상 높았다.


'직장인 재테크 방식' 설문조사 결과. 인크루트

'직장인 재테크 방식' 설문조사 결과. 인크루트

원본보기 아이콘

직장인 절반은 업무 중 투자…주요 목적은 목돈·여유 자금 확보

업무시간 중에도 재테크를 한다는 응답자는 49.6%에 달했다. 이 가운데 ▲매우 자주 한다(7.4%) ▲종종 한다(42.2%)로, 절반 가까운 직장인이 근무 중에도 투자 관련 활동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업무 외 재테크 투자 시간은 ▲30분 미만(51.0%) ▲30분~1시간(31.4%)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재테크의 주요 목적은 ▲목돈·여유 자금 확보(49.6%)가 가장 많았다. 이어 ▲노후 자금 마련(30.3%) ▲내 집 마련(12.5%) 순으로 나타났다. 재테크 성과에 대해서는 ▲이익을 냈다는 응답이 60.1%로 가장 많았다. 뒤를 이어 ▲본전(23.8%) ▲손실(16.1%)이 응답이 많았다. 특히 20대의 72.2%가 '수익을 냈다'고 답한 반면, 50대 이상은 '손실을 봤다'는 응답이 28.6%로 가장 높았다.


재테크를 하지 않는다고 답한 응답자(7.8%)의 절반은 '여유 자금이 없어서'(50.0%)를 이유로 꼽았다. 20~30대는 '방법을 몰라서', 40~50대는 '자금 부족'을 주된 이유로 들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6일부터 29일까지 진행됐으며 신뢰수준 95%, 표본오차 ±4.74%포인트다.





서지영 기자 zo2zo2zo2@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