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이 대통령 "전정부 R&D 예산 퇴행, 내년 인공지능에 10.1조 편성"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이 대통령 4일, 국회 예산안 시정연설
"지난 정부는 천금 같은 시간 허비해"
내년 AI 예산, 올해 대비 3배 이상 확대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여의도 국회에서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대한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불참했다. 2025.11.4.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여의도 국회에서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대한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불참했다. 2025.11.4.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정부의 연구개발(R&D) 정책에 대해 "과거로 퇴행했다"고 비판하며 앞으로는 "인공지능(AI) 시대를 열기 위한 투자를 대폭 확대하고 성장의 토대를 단단히 다지겠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국회서 열린 '2026년도 예산안 시정연설'에서 "AI 사회로의 전환은 필연"이라면서 "산업화 시대에는 하루가 늦으면 한 달이 뒤처지고, 정보화 시대에는 하루가 늦으면 일 년이 뒤처졌지만, AI 시대에는 하루가 늦으면 한 세대가 뒤처진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 정부는 천금 같은 시간을 허비한 것도 모자라 R&D 예산까지 대폭 삭감하며 과거로 퇴행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 대통령은 내년도 예산안에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대전환에 총 10조1000억원을 편성했다"며 "올해 예산 3조3000억원보다 3배 이상 늘어난 규모"라고 평가했다. 내년도 예산 중 2조6000억원은 산업·생활·공공 전 분야 AI 도입에, 7조5000억원은 인재양성과 인프라 구축에 투입된다.


그는 "피지컬 AI 선도 국가 달성을 위해 국내의 우수한 제조 역량과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점사업에 집중 투자하겠다"며 "로봇, 자동차, 조선, 가전·반도체, 팩토리 등 주요 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AI 대전환을 신속하게 이루기 위해 향후 5년간 약 6조원을 투입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를 통해 피지컬 AI지역거점 조성, 대규모 R&D 및 실증 추진, AI 지역 기반 혁신 촉진, 생활 밀접형 제품 300개의 신속한 AI 적용 등을 추진한다.


또 이 대통령은 "인재양성과 핵심 인프라 구축에도 과감하게 투자하겠다"면서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고급인재 1만1000명을 양성하고 세대별 맞춤형 교육을 통해 국민 누구나 AI를 주도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공언했다.


AI 인프라 구축에 필수적인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에 대해서는 "1만5000장을 추가 구매해 정부 목표인 3만5000장을 조기에 확보하겠다"면서 "엔비디아에서 GPU 26만장을 한국에 공급하기로 한 만큼 국내 민간 기업이 GPU를 확보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AI·콘텐츠·방위산업 등 첨단전략산업 분야의 핵심 기술 개발을 위한 R&D 투자는 역대 최대 규모인 35조3000억원으로 19.3% 확대 편성했다고 이 대통령은 전했다. 향후 5년간 150조원의 국민성장펀드를 조성해 첨단전략산업을 육성하겠다는 게 이 대통령의 구상이다.


한편 이 대통령은 "AI 시대에는 문화의 중요성이 지금보다 훨씬 더 커질 수밖에 없다"며 "세계가 주목하는 우리 문화의 힘을 더욱 키우기 위해 K-컬처 투자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





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