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포스코DX "AWS 손잡고 AI 에이전트 개발…업무 효율성 ↑"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성휴표 포스코DX 기술연구소 상무 인터뷰
AWS와 협력 통해 'AI 엔지니어 에이전트' 개발

"아마존웹서비스(AWS)가 글로벌 클라우드 플랫폼 기업 중 제조업에 특화된 경험과 구축 사례(레퍼런스)를 갖고 있다는 게 차별화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지난 15일 서울 강남구 웨스틴 서울 파르나스에서 만난 성휴표 포스코DX 기술연구소 상무는 에이전틱 인공지능(AI) 개발 과정에서 AWS와 협력하게 된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성휴표 포스코DX 기술연구소 상무가 서울 강남구 웨스틴 서울 파르나스에서 아시아경제와 인터뷰하고 있다. 아마존웹서비스(AWS) 제공

성휴표 포스코DX 기술연구소 상무가 서울 강남구 웨스틴 서울 파르나스에서 아시아경제와 인터뷰하고 있다. 아마존웹서비스(AWS) 제공

AD
원본보기 아이콘

포스코DX는 최근 에이전틱 AI인 'AI 엔지니어 에이전트'를 개발해 자동화 업무에 적용하기 시작했다. 에이전틱 AI는 AI가 자율적으로 판단하는 걸 넘어 실제 업무까지 수행하는 것을 뜻한다. 지난 8월경부터 AI 엔지니어 에이전트의 테스트 적용이 시작됐는데, 현재는 AI가 데이터를 분석한 뒤 도면까지 그려내는 수준까지 구현됐다. 포스코DX는 이 에이전트를 설비 운영기술(OT) 업무의 약 20%에 적용한다는 목표다.


포스코DX는 AWS와의 협업을 거쳐 AI 엔지니어 에이전트를 개발했다. 개발 과정에서도 AWS의 '베드록'과 같은 플랫폼을 활용했다. 베드록은 여러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통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다. AI 개발을 위한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장비가 없더라도 손쉽게 AI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다.


이렇게 개발한 에이전틱 AI를 업무에 도입하자 성과가 곧바로 나타났다. 성 상무는 "AI를 활용해 자동화를 하면 제조와 설계 모두에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며 "사람의 손으로 일하는 것보다 생산성을 30% 정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에이전틱 AI의 도입으로 개발자들의 역할도 바뀔 것이라는 게 성 상무의 진단이다. 그는 "정형화된 규칙에 따르는 작업은 AI가 하게 될 것"이라며 "시스템의 고도화나 정교화처럼 AI를 활용하는 과제를 찾아내는 게 SW 엔지니어의 역할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포스코DX는 AWS가 지난 14일부터 16일까지 진행한 'AI x 인더스트리 위크 2025'에서 발표에 나서 AI를 산업에 적용한 개발 사례를 공유했다.


성휴표 포스코DX 기술연구소 상무가 서울 강남구 웨스틴 서울 파르나스에서 아시아경제와 인터뷰하고 있다. 아마존웹서비스(AWS) 제공

성휴표 포스코DX 기술연구소 상무가 서울 강남구 웨스틴 서울 파르나스에서 아시아경제와 인터뷰하고 있다. 아마존웹서비스(AWS)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




이명환 기자 lifehwan@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