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포경수술 받은 아이들 자폐 발병률 높다"…'타이레놀' 또 저격한 美 장관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장관 주장
의료계는 “근거 없어…정치적 발언” 반박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미국 보건복지부 장관이 "조기에 포경수술을 받은 아이들은 타이레놀 복용 탓에 자폐증 발병률이 높다"는 취지의 발언을 해 논란이 일고 있다.


11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와 뉴욕포스트 등에 따르면 케네디 장관은 최근 워싱턴 D.C.에서 열린 내각회의에서 "조기 포경수술을 받은 아이들이 자폐증 발병률이 두 배나 높다는 연구가 두 건 있다"며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 복용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케네디 장관은 구체적인 연구명을 밝히지 않았지만, 2013년 국제학술지 환경건강(Environmental Health) 과 2015년 영국 왕립의학회지(JRSM) 에 실린 연구를 언급한 것으로 추정된다. 해당 연구는 8개국 남성을 대상으로 포경수술과 자폐증 발병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포경수술에 사용되는 진통제 성분이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미국 보건복지부 장관. 연합뉴스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미국 보건복지부 장관.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또 다른 2015년 덴마크 연구에서는 약 34만명의 남아를 10년간 추적한 결과, 포경수술을 받은 아이의 자폐증 발병 위험이 46~62% 더 높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두 연구 모두 신뢰도가 낮다는 평가를 받았다. 부모의 출산 연령, 의료 접근성, 자폐증 진단율 증가 등 주요 변수들이 통제되지 않았고, 포경수술을 받은 아동이 병원 진료를 더 자주 받아 진단 가능성이 높았다는 점도 지적됐다.

케네디의 발언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임신 중 타이레놀 복용이 태아의 자폐증 발병 위험을 높인다"고 주장한 지 2주 만에 나왔다. 트럼프는 식품의약국(FDA)에 "타이레놀 제품 라벨에 자폐 및 뇌 발달 위험 경고를 추가해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이에 의료계는 케네디 장관의 발언이 정치적 성격이 짙다고 보고 있다.


미국 산부인과학회(ACOG)는 "20년 넘는 연구 결과, 임신 중 아세트아미노펜 복용과 자폐증 사이 연관성은 확인되지 않았다"며 "적절한 용량 내에서 타이레놀은 임신부에게 안전한 해열·진통제"라고 반박했다.


세계보건기구(WHO)와 유럽의약품청(EMA)도 "현재까지 과학적 근거는 없다"며 트럼프와 케네디의 주장을 일축했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