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광주 10가구 중 3가구 ‘나홀로’…1인 가구 35.5%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20대 최다…중장년·노년층까지 확산
월세 46%…소형 주택 거주 통념과 달라
생애주기별·계층별 맞춤형 정책 필요

광주지역 10가구 중 3가구가 1인 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 비율이 높지만, 중장년, 노년층까지 전 세대에 걸쳐 확산하는 추세다.


5일 광주여성가족재단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광주 1인 가구는 22만1,464가구로 전체 가구의 35.5%를 차지했다.

ChatGPT를 이용해 생성한 이미지.

ChatGPT를 이용해 생성한 이미지.

AD
원본보기 아이콘

연령대별로는 20대가 4만5,682가구로 가장 많았고, 30대 3만8,503가구, 40대 3만1,196가구, 50대 3만4,399가구, 60대 3만3,815가구, 70대 2만1,532가구, 80대 이상 1만4,529가구 순이었다. 청년층 비율이 가장 높았다.

거주 형태는 아파트가 50%로 가장 많았고, 단독주택 38.2%, 주택 외 거처 7.2% 순이었다. 점유 형태는 월세가 46.3%로 가장 높았고, 자기 집 35.7%, 전세 12%였다.


방 개수는 4개가 7만3,285가구로 가장 많았고, 3개 5만5,648가구, 1개 3만5,327가구, 2개 2만9,688가구였다. 1인 가구가 주로 소형 주택에 거주한다는 통념과 다른 결과다.


1인 가구의 주요 사유는 직장 때문이 31.5%, 독립생활 28.8%, 가족과 사별 13.2% 순이었다. 청년층은 직장(46%), 독립생활(30.5%)이 많았고, 중장년층은 독립생활(35.2%), 직장(32%) 순이었다. 노년층은 사별이 43.3%로 가장 높았다.

혼자 산 기간은 5~10년이 19.2%, 3∼5년 14.1%, 10∼15년 14%였다. 출신지는 전남이 8만6,244가구로 가장 많았고, 광주 출신은 7만가구였다. 광주에서 분가하거나 전남에서 유입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교육 수준은 대학교 졸업이 31.8%, 고등학교 졸업 30.1%였다. 남성 대학 졸업자는 37.2%로 여성(26.5%)보다 많았다. 혼인 상태는 남성은 미혼(62.4%), 이혼(16.1%), 사별(6%) 순이었고, 여성은 미혼(41.8%), 사별(31.1%) 순이었다.


박주희 광주여성가족재단 연구위원은 "1인 가구는 청년이나 노년에만 나타나는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생애 주기별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며 "청년, 중장년, 노년기에 맞는 지원 정책과 함께 장애인, 자립청년 등 특성을 고려한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호남취재본부 송보현 기자 w3to@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