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미래 소부장 의존]"디스플레이 강국의 민낯…액정·컬러필터 국산화율 0%"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액정·컬러필터·유리기판 국산화율 0%
OLED 핵심소재 다수 수입 의존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 국산화율 10% 미만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이 세계 시장을 선도하고 있지만 핵심 부품의 국산화율은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액정과 컬러필터 같은 기초 소재는 국산화율이 0%였고, 차세대 기술로 꼽히는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Micro LED) 핵심 부품도 대부분 10% 미만에 불과했다.


7일 이재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산업통상자원부에 요구해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디스플레이 산업 주요 품목의 국산화율은 액정·컬러필터·유리기판·백라이트유닛 0%,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정밀금속마스크 5% 미만,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 RGB 발광소자와 전사 공정 장비 10% 미만에 그쳤다.

액정표시장치(LCD) 부문에서는 액정 물질 국산화율이 0%로 전량 해외 의존이었다. 컬러필터 0%, 유리기판 0%, 백라이트유닛 0%로 모두 수입에 의존했다. 편광판은 2022~2023년까지는 국산화율 100%를 기록했지만 2024년 다시 해외 의존도가 100%로 바뀌었다. 제조 장비의 경우 노광 장비는 해외 의존도가 100%였고, 식각·검사 장비는 국산화율 100%였다. 구동집적회로 역시 국산화율 100%로 조사됐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부문은 품목별 편차가 컸다. 발광 유기소재 중 호스트는 국산화율이 95%로 높은 수준이었으나, 도판트는 국산화율 33%에 그쳐 67%를 수입에 의존했다. 정밀금속마스크는 국산화율이 5% 미만으로 95% 이상을 해외에 의존했다.

[미래 소부장 의존]"디스플레이 강국의 민낯…액정·컬러필터 국산화율 0%"
AD
원본보기 아이콘

투명 접착층은 국산화율이 10% 미만이었고, 증착 장비는 20% 미만으로 집계됐다. 반면 봉지재·보호막은 국산화율 95% 이상, 검사 장비와 구동집적회로는 100% 국산화율을 기록했다. 박막트랜지스터(TFT) 백플레인은 국산화율 85%로 나타났다.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Micro LED) 부문은 해외 의존도가 더욱 두드러졌다. RGB 발광소자는 국산화율 10% 미만, 전사 공정 장비도 국산화율 10% 미만으로 조사됐다. 백플레인은 국산화율 20%, 봉지재와 광학 부품은 국산화율 5% 미만으로 사실상 전량 수입에 의존했다. 검사 장비와 보정 장비도 국산화율 10% 미만에 그쳤다. 이 가운데 구동집적회로만 국산화율 100%로 전량 국내에서 생산됐다.

업계는 이 같은 해외 의존 구조에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 특정 국가에 편중된 공급망은 가격과 물량에 따라 국내 생산 기반을 크게 흔들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핵심 부품의 국산화율이 0~20%에 머무는 상황에서는 안정적인 생산 기반을 보장하기 어렵다"며 "소재와 장비 자립 없이는 디스플레이 경쟁력이 약화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부는 소재·부품·장비 육성을 위해 대규모 연구개발과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유기소재와 검사 장비 등 일부 전략 품목은 성과를 내고 있지만, 액정·컬러필터 같은 기초 소재와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 전사 공정은 여전히 격차가 크다. 전문가들은 공급망 다변화와 장기적인 기술 개발을 병행하지 않으면 세계 시장에서 입지를 유지하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박준이 기자 giver@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