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절반 투표에 50.4%찬성률…사생활 중시 스위스서 전자 신분증 극적 도입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스위스 전자 신분증 도입 찬성 50.4% 통과
사생활 보호 의식 강해…앞서 한 차례 부결
반대파, 마케팅 활용될 수 있다는 불신 커

한때 비밀 자금의 은신처로 불릴 정도로 엄격하게 사생활을 보호해온 스위스에서 전자 신분증 도입안이 통과됐다. 연합뉴스는 28일(현지시간) 영국 BBC 방송과 가디언 등을 인용해 "스위스 국민투표에서 전자 신분증 도입안이 찬성률 50.4%로 가까스로 가결됐다. 나머지 49.6%는 전자 신분증 도입에 반대했다"고 보도했다. 투표율은 49.55%로 기록됐다.


스위스에서 전자 신분증이 도입됐다. 스위스 연방 당국 홈페이지

스위스에서 전자 신분증이 도입됐다. 스위스 연방 당국 홈페이지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처럼 전자 신분증 도입안이 겨우 통과된 것은 의외의 결과로 평가된다. 앞서 여론조사에서는 최대 60%의 국민이 전자 신분증 도입에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스위스 당국과 상원과 하원 모두 이 계획을 지지했기 때문이다.

지난 2021년 전자 신분증 도입 여부를 두고 국민투표가 실시된 적 있으나, 개인정보를 민간 기업이 관리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 반대가 약 64%로 부결된 바 있다. 그동안 스위스 정부는 전자 신분증 시스템을 정부 관리 아래 두기로 하는 등 개인정보 유출 우려를 완화하기 위해 여러 개선 사항을 마련했다. 정보는 개별 사용자의 스마트폰에만 저장되고, 특정 기관이 나이나 국적 등 개인 정보를 요구할 경우 해당 세부 사항만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전자 신분증 도입 찬성파들은 전자 신분증이 도입되면 생활이 더욱 편리해지고, 관공서에 가지 않고도 여러 행정 절차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점을 들었다.


그러나 사생활을 중시하는 스위스 특성상 전자 신분증이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할 수 있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았다. 반대파들은 개인 정보를 통해 사람들을 추적하거나 마케팅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다. 전자 신분증은 선택 사항이며 실물 신분증도 사용할 수 있지만, 향후 완전히 대체할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스위스는 지난 17세기 이후 은행 비밀주의를 철저히 보장했으며 이 역시 개인의 재정을 국가의 감시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도입됐었다. 다만 2010년대 이후 국제적인 금융 정보 공조가 강화되면서 비밀 계좌를 보호하던 연방법 규정을 삭제한 바 있다.




김성욱 기자 abc123@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