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환경 이중화 작업 안돼 있어
백업체계 갖춰지지 않아 대규모 장애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전산실 화재로 27일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가 가동이 중단돼 불편을 초래하는 가운데 클라우드 환경 이중화 작업 미비가 사태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동일한 환경을 갖춘 '쌍둥이' 클라우드 시스템이 있었다면 한 곳에 재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지역적으로 또다른 곳에서 기능을 할 수 있어 대규모 장애 상황을 막을 수 있지만 현재는 이런 서비스 이중화(백업) 체계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민재 행안부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연 브리핑에서 "이번 화재는 국정자원의 무정전 전원장치 배터리를 지하로 이전하기 위한 작업 중, 전원이 차단된 배터리 1개에서 발생했다"면서 "우체국 금융과 우편 등 대국민 파급효과가 큰 주요 정부서비스 장애부터 신속히 복구하겠다"고 밝혔다.

이재용 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오른쪽)이 2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열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정부 서비스 장애 관련 브리핑'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전날 화재가 난 전산실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 자체 운영하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환경인 'G-클라우드 존'으로 알려졌다. 해당 구역의 재난복구(DR) 시스템은 서버 DR과 클라우드 DR 두 가지가 모두 필요한 환경이다. 다만 국정자원은 서버의 재난복구 환경은 갖춰져 있지만 클라우드 재난복구 환경은 구축이 완료되지 않아 정부 시스템이 전면 다운되는 등 사태를 키운 것으로 분석됐다.
간밤 국정자원의 화재로 인한 정부 시스템 마비는 3년 전 카카오 먹통 사태 판박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2022년 10월 카카오톡 서버가 있는 데이터센터의 화재 발생으로 국민메신저 카카오톡을 비롯한 대부분의 카카오 서비스가 일제히 장애가 발생했다. 당시 밤샘 복구 작업으로 카카오톡 등 일부 서비스는 정상화 됐지만, 많은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으면서 혼란을 초래했다.
카카오는 먹통 사태를 계기로 재난복구 시스템을 데이터센터 3개가 연동되는 삼중화 이상으로 고도화하는 계획을 발표하고, 인프라 개선 등 서비스 안정성 강화를 약속했다. 카카오 먹통 사태로 사회적 혼란이 초래되면서 데이터센터 관리의 중요성이 도마에 올랐지만 또다시 국정자원 화재로 관리 부족이 전면에 드러난 셈이다.
클라우드 업계 관계자는 "자원의 중요성이 큰 만큼 화재가 발생한 구역 재난복구(DR) 시스템은 서버 DR과 클라우드 DR 두 가지가 모두 필요한 환경"이라며 "일차로 화재가 발생한 것이 주요 원인이지만, 클라우드 DR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정부 시스템이 전면 다운되는 등 혼란을 초래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정자원 대전 본원은 공주 센터와 이중화하는 작업이 계획됐지만 예산 문제 등으로 지연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초 클라우드 재난복구 시스템 구축 세부 방안을 내놓은 후 5년 내 순차적 이전 계획을 수립하고 내년부터 상세 컨설팅 작업에 들어갈 계획이었지만 이 과정에서 정부 클라우드 민간 이전에 대한 반대 의견 등도 제기됐다.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