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과 김지희 교수팀, 차세대 초고속 AI 연산·양자정보 소자 개발 새 길 열어
부산대학교 연구진이 전류의 흐름을 단순히 켜고 끄는 수준을 넘어, 전류 응답의 부호(음성→양성)를 1조분의 1초 단위에서 전환하는 현상을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
이번 성과는 초고속 AI 연산과 양자정보 소자 등 미래 핵심 기술 분야에 새로운 응용 가능성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대(총장 최재원)는 물리학과 김지희 교수 연구팀이 2차원 반도체-금속 반데르발스 계면에서 빛에 의해 전기장이 순간적으로 반전되며 광전도 신호가 가역적으로 바뀌는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9월 12일 자에 게재했다고 25일 전했다.
기존 연구에서는 2차원 반도체-금속 계면의 내부 전기장이 고정적이라고 가정해 광전도 신호를 초고속·정밀하게 제어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광전도 전환을 제어하려면 게이트 전극이나 가스 압력 조절 같은 복잡한 외부 장치가 필요했으며, 응답 속도 역시 나노초(10억분의 1초)에서 마이크로초(100만분의 1초) 수준에 머물렀다.
연구팀은 초고속 광전류 분광법을 활용해 MoTe₂/Pt 쇼트키 접합 계면에서 전하가 광여기되며 계면 전기장을 동적으로 반전시키는 과정을 관측했다. 이로써 음성 광전도(NPC)에서 양성 광전도(PPC)로의 전환이 피코초(1조분의 1초) 단위에서 일어남을 직접 확인했다.
또 이번 현상을 기반으로 전압-프로그래머블 NPC/PPC 광검출기를 제안하고 구현해, 수 mV 수준의 미세 전압만으로도 전환 시점을 피코초 단위에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이 소자는 게이트 전극이나 외부 모듈 없이도 음·양 광전도 모드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어, 기존 광검출기의 구조적 복잡성과 높은 전력 소모 문제를 극복한 것으로 평가된다.
김지희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금속-2차원 소재 계면에서 빛과 계면 상호작용을 통해 전류 응답을 피코초 단위에서 가역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보여준 최초의 사례"라며 "향후 펨토초 시간 규모까지 도달하는 연구를 이어가 초고속 광통신, 뉴로모픽 연산, 양자정보 소자 등 다양한 차세대 기술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영남취재본부 조충현 기자 jchyoung@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지금 주문해도 4년 뒤에야 받는다…전 세계가 '한...
마스크영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단독]강태영 농협은행장 첫 조직개편 단행…생산적 금융·AX 강화 등](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614151832759_1764134118.png)
![맘스터치 '싸이버거 패티' 공급가 인상 사건 상고심[리걸 이슈체크]](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4022308153573139_1708643735.jpg)
![[시시비비]AI 세대와 낡은 평가 방식의 충돌](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708263103640A.jpg)
![[시론]환율 안정의 근원적 해결책은 기업이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613111577424A.jpg)
![[기자수첩]무책임한 국가수사본부장의 입](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611011132766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