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출퇴근시간 긴 것도 서러운데…통근시간 60분 넘으면 외로움 49%↑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여의도 버스환승센터에서 직장인들이 우산을 꼭 붙잡고 출근길에 오르고 있다. 기사 본문과 무관.

여의도 버스환승센터에서 직장인들이 우산을 꼭 붙잡고 출근길에 오르고 있다. 기사 본문과 무관.

AD
원본보기 아이콘

통근 시간이 길수록 외로움을 느낄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자가용 이용해 출퇴근하거나 혼자 사는 사람의 경우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최백용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 연구팀에 따르면 연구팀은 Journal of Transport & Health'(교통 건강 저널)에 2023년 서울시 거주 직장인 2만4278명을 대상으로 통근 시간과 외로움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2023 서울서베이' 문항을 통해 이들의 외로움을 측정했고, 편도 통근 시간에 따라 ▲ 30분 이하 ▲ 31분 이상∼60분 이하 ▲ 60분 초과 등 세 그룹으로 나눠 분석했다.


연구 결과, 통근 시간이 30분 이하인 그룹을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60분을 초과하는 그룹은 가족관계에서 외로움을 느낄 위험이 49% 높았다. 가족 외 타인과의 관계에서 외로움을 느낄 위험은 36% 큰 것으로 나타났다.


통근 시간 60분을 초과하는 그룹을 통근 수단별로 분석한 결과, 자가용을 이용해 출근하는 경우 외로움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면 대중교통이나 도보, 자전거 등 이용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연구팀은 "통근 시간이 길수록, 특히 60분을 넘을 경우 외로움을 느낄 위험이 커진다"며 "자가용 이용자와 혼자 사는 사람들이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도시 계획과 정책은 통근 시간을 줄이고, 사회적 참여를 장려하는 방향으로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