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현지생산 비중에서 결정적 차이
한신평 "현대차·기아 관세 부담 감내 가능"
글로벌 완성차, 관세만큼 가격 올리지 않아
美 일본 이어 유럽산 차 관세도 15% 확정
미국이 수입 자동차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한 후 현대차·기아와 일본 도요타의 가격 인상 폭이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기아가 최근 5개월간 2.3% 올랐지만, 도요타 인상 폭은 0.1%에 그쳐 사실상 동결한 것이다.
자동차 기업들은 관세 부과 이후 차값을 직접 올리기보다 대리점 인센티브를 축소하면서 수익을 확보해 왔는데, 25% 관세율이 지속되면서 현대차·기아의 가격경쟁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미국 정부가 일본산 자동차에 이어 유럽산에도 15% 관세를 부과하기로 확정하면서 한국산 자동차의 미국 내 입지는 더욱 좁아질 전망이다.
25일 미국 시장조사업체 콕스오토모티브가 매달 발표하는 완성차 15개 사의 평균거래가격(ATP)을 비교한 결과, 현대차(기아·제네시스 포함)의 ATP는 지난 3월 3만8129달러(약 5314만원)에서 8월 3만9037달러(약 5440만원)로 2.3% 올랐다. 우리 돈으로 126만원가량 늘었다. ATP는 자동차 시장에서 소비자가 거래한 평균 가격으로, 완성차 업체가 제공하는 인센티브나 할인 등이 적용된 최종 가격을 가리킨다.
반면 도요타(렉서스 포함) ATP는 4만5076달러(약 6290만원)에서 4만5164달러(약 6302만원)로 0.1%, 12만원 오르는 데 그쳤다. 혼다도 3만8890달러(5427만원)에서 3만9236달러(5475만원)로 인상률이 0.8%(48만원)에 불과했다.
가격 인상 격차가 벌어진 건 현지생산 비중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현대차·기아의 미국 판매 대비 현지 생산 비중은 42%로 낮은 수준인데 도요타는 54%, 혼다는 72%에 달한다. 미국 현지 생산 비중이 24%에 불과한 폭스바겐의 ATP는 이 기간 8.5% 올라 글로벌 완성차 업체 가운데 가장 높았다.
이 때문에 가격 인상에도 불구하고 현대차의 2분기 영업이익률은 8.2%로, 전년 동기(10.9%) 대비 2.7%포인트 줄었다. 도요타 영업이익률은 9.5%로 전년 대비 1.6%포인트 낮아지는 데 그쳤다. 다만 한신평은 이와 관련해 "현대차·기아의 이익창출력이 우수한 만큼 관세 부담은 감내 가능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도요타 등 경쟁사들이 가격 인상을 최소화하면서 현대차·기아가 가격을 올릴 여지는 더욱 좁아졌다. 콕스오토모티브에 따르면 완성차 15개 사 평균 ATP는 3월 4만7512달러(약 6620만원)에서 8월에는 4만9077달러(약 6838만원)로 5개월 새 3.2% 올랐다.
미국에서 지난 4월 발효된 관세율 25%와 큰 차이를 보였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은 최근 'CEO 인베스터데이'에서 "미국의 관세 부과가 곧바로 차량 가격 인상으로 직결되는 것은 아니다"고 밝혔는데, 오히려 인하를 검토해야 할 정도로 완성차 업체들은 허리띠를 졸라매는 상황이다.
일본산에 이어 유럽산 차에도 미국 정부가 15% 관세를 적용하기로 하면서 현대차·기아는 미국 시장에서 더욱 불리해졌다. 미 상무부와 무역대표부(USTR)는 오는 25일 정식 관보 게재를 앞두고 24일(현지시간) 사전 공개한 관보에서 유럽산 자동차 수입에 대한 관세를 8월1일 자로 소급 적용해 현 27.5%에서 15%로 낮춘다고 명시했다.
업계 관계자는 "다른 완성차들이 관세를 가격에 적극 반영하지 않는 건 현대차에도 부담"이라며 "한미 정부가 합의한 15% 관세가 서둘러 발효돼야 한다"고 말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