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관세폭탄 맞고 126만원 올랐는데…도요타는 고작 12만원 올랐다

美 현지생산 비중에서 결정적 차이
한신평 "현대차·기아 관세 부담 감내 가능"
글로벌 완성차, 관세만큼 가격 올리지 않아
美 일본 이어 유럽산 차 관세도 15% 확정

미국이 수입 자동차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한 후 현대차·기아와 일본 도요타의 가격 인상 폭이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기아가 최근 5개월간 2.3% 올랐지만, 도요타 인상 폭은 0.1%에 그쳐 사실상 동결한 것이다.


럭셔리 대형 세단 제네시스 G80

럭셔리 대형 세단 제네시스 G80

원본보기 아이콘

자동차 기업들은 관세 부과 이후 차값을 직접 올리기보다 대리점 인센티브를 축소하면서 수익을 확보해 왔는데, 25% 관세율이 지속되면서 현대차·기아의 가격경쟁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미국 정부가 일본산 자동차에 이어 유럽산에도 15% 관세를 부과하기로 확정하면서 한국산 자동차의 미국 내 입지는 더욱 좁아질 전망이다.


현대차, 관세폭탄 맞고 126만원 올랐는데…도요타는 고작 12만원 올랐다 원본보기 아이콘

25일 미국 시장조사업체 콕스오토모티브가 매달 발표하는 완성차 15개 사의 평균거래가격(ATP)을 비교한 결과, 현대차(기아·제네시스 포함)의 ATP는 지난 3월 3만8129달러(약 5314만원)에서 8월 3만9037달러(약 5440만원)로 2.3% 올랐다. 우리 돈으로 126만원가량 늘었다. ATP는 자동차 시장에서 소비자가 거래한 평균 가격으로, 완성차 업체가 제공하는 인센티브나 할인 등이 적용된 최종 가격을 가리킨다.


반면 도요타(렉서스 포함) ATP는 4만5076달러(약 6290만원)에서 4만5164달러(약 6302만원)로 0.1%, 12만원 오르는 데 그쳤다. 혼다도 3만8890달러(5427만원)에서 3만9236달러(5475만원)로 인상률이 0.8%(48만원)에 불과했다.


가격 인상 격차가 벌어진 건 현지생산 비중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현대차·기아의 미국 판매 대비 현지 생산 비중은 42%로 낮은 수준인데 도요타는 54%, 혼다는 72%에 달한다. 미국 현지 생산 비중이 24%에 불과한 폭스바겐의 ATP는 이 기간 8.5% 올라 글로벌 완성차 업체 가운데 가장 높았다.

이 때문에 가격 인상에도 불구하고 현대차의 2분기 영업이익률은 8.2%로, 전년 동기(10.9%) 대비 2.7%포인트 줄었다. 도요타 영업이익률은 9.5%로 전년 대비 1.6%포인트 낮아지는 데 그쳤다. 다만 한신평은 이와 관련해 "현대차·기아의 이익창출력이 우수한 만큼 관세 부담은 감내 가능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현대차, 관세폭탄 맞고 126만원 올랐는데…도요타는 고작 12만원 올랐다 원본보기 아이콘

도요타 등 경쟁사들이 가격 인상을 최소화하면서 현대차·기아가 가격을 올릴 여지는 더욱 좁아졌다. 콕스오토모티브에 따르면 완성차 15개 사 평균 ATP는 3월 4만7512달러(약 6620만원)에서 8월에는 4만9077달러(약 6838만원)로 5개월 새 3.2% 올랐다.


미국에서 지난 4월 발효된 관세율 25%와 큰 차이를 보였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은 최근 'CEO 인베스터데이'에서 "미국의 관세 부과가 곧바로 차량 가격 인상으로 직결되는 것은 아니다"고 밝혔는데, 오히려 인하를 검토해야 할 정도로 완성차 업체들은 허리띠를 졸라매는 상황이다.


일본산에 이어 유럽산 차에도 미국 정부가 15% 관세를 적용하기로 하면서 현대차·기아는 미국 시장에서 더욱 불리해졌다. 미 상무부와 무역대표부(USTR)는 오는 25일 정식 관보 게재를 앞두고 24일(현지시간) 사전 공개한 관보에서 유럽산 자동차 수입에 대한 관세를 8월1일 자로 소급 적용해 현 27.5%에서 15%로 낮춘다고 명시했다.


업계 관계자는 "다른 완성차들이 관세를 가격에 적극 반영하지 않는 건 현대차에도 부담"이라며 "한미 정부가 합의한 15% 관세가 서둘러 발효돼야 한다"고 말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