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4300명 탄 한강버스 '만석' 히트…"화장실이 막혔어요" 돌발상황 '아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평균 좌석 점유율 80.3%
한때 '대기표' 배부까지 이어져
화장실 막혀 '사용불가' 상황도

한강버스가 정식 운항 첫날인 18일 만석 행진을 이어갔다. 4000여명의 시민이 탑승해 인기를 끌었지만, 화장실이 막혀 사용이 어려워지는 등 돌발 상황도 발생했다.


19일 서울시에 따르면 한강버스가 운항을 시작한 전날 총 탑승객은 4361명으로 집계됐다. 구간별 평균 탑승객은 152.5명, 평균 좌석 점유율은 80.3%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전날 오전 11시 노선의 양 끝인 마곡·잠실에서 시작한 첫차는 양방향 모두 만석을 기록했다. 상·하행 7회씩 총 14회 운항하는데, 나머지 회차 한강버스도 대부분 꽉 찬 상태로 운항했다. 구간별로 잠실행 1회차는 마곡~압구정 구간, 3회차는 여의도에서 만석을 기록했다. 마곡행 1회차는 잠실~뚝섬 구간, 3회차는 옥수~압구정 구간이 만석으로 운항했다.


운항 첫날인 만큼 한강버스 선착장에 시민들이 몰리면서 '대기표'를 나눠주는 상황까지 벌어졌다. 한강버스 승선 인원은 배에 따라 145석, 199석인데 이 이상의 시민이 모인 탓이다. 선착장에는 첫차 출발 30여분 전부터 시민들이 모여 표를 발권하고 선착장 내부를 둘러보기도 했다.


한강버스 잔여석은 선착장 인근 지하철역의 '정보표시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 네이버지도·카카오맵에서 '한강버스'를 검색해 확인 가능하다. 전날 오후 온라인으로 확인한 한강버스 잔여석은 대부분 구간에서 0석이거나 10석 이내였다. 서울시 관계자는 "현장에서 배 탑승을 위해 탑승권을 태그하는 순간 잔여석 정보가 되고, 승무원이 최종 확인을 하고 입력하면 최종적으로 정보 표시기에 정보가 뜬다"며 "도착 예정 시간까지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 지하철 여의나루역에 설치된 한강버스 정보표시기. 서울시 제공

서울 지하철 여의나루역에 설치된 한강버스 정보표시기. 서울시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

운항 첫날부터 '화장실'에 문제가 생기기도 했다. 시에 따르면 전날 오후 4시30분께 한강버스 내부 화장실이 막혀 사용할 수 없게 됐다. 문제가 발생한 것은 화장실 한 칸이지만, 오수관이 모두 연결돼 있어 모든 화장실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다. 시 관계자는 "물티슈 등을 많이 넣으셔서 막히게 된 것 같다"며 "선박은 일반 건물에 있는 화장실과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당장 해결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지만, 최대한 빠르게 조치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 선박은 우선 화장실 사용 제한 조치를 한 뒤 운행을 지속할 예정이다.


한강버스 1회 이용 요금은 3000원이며, 5000원을 추가한 기후동행카드 사용 시 무제한 탑승할 수 있다. 일반 대중교통처럼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태그한 뒤 입장하며, 버스·지하철 등 대중교통 환승할인도 적용된다. 키오스크에서 종이 탑승권을 발급받는 방식도 있다. 다만 현금결제는 불가능하다.





김영원 기자 forever@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