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투자증권은 2일 "한국에선 구조적으로 로봇 산업이 성장할 수밖에 없다"며 로보티즈 와 현대무벡스 를 관련 최선호주로 제시했다.
이날 최승환 신한투자증권 연구위원은 "로봇주는 당분간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휴머노이드·지능형 로봇 부품 밸류체인(가치사슬) 기업과 대기업의 지분투자를 받은 기업, 물류 등 특화 영역에서 매출 성장을 이뤄낸 기업에 주목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최 연구위원은 노란봉투법 통과와 무관하게 로봇 산업의 성장이 필연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달 24일 노란봉투법이 국회를 통과하고, 이튿날 주요 로봇 기업의 주가는 평균 10% 상승했다. 최근 기업의 안전 책임이 강화되는 분위기에서 잠재적인 노동쟁의 리스크까지 가세했다"면서도 "노란봉투법은 로봇 산업 성장을 앞당기는 수많은 요인 중 하나에 불과하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한국 기업이 당면한 노동력 부족, 인건비 상승이라는 구조적 문제 속에서 로봇 투자 확대는 필연적"이라며 "우리나라는 산업용 로봇 보급률 세계 1위(제조업 노동자 1만명당 약 1012대)이며, 제조업이 즐비한 글로벌 최고의 시험 무대다"고 말했다.
글로벌 금리 고착화, 지정학 리스크에 따라 로봇 설치 속도는 아직 시장 기대를 밑돌고 있다. 최 연구위원은 "아직은 로봇의 ROI(투자 대비 수익)가 노동력을 본격 대체할 정도로 높지 않기 때문에, 기업의 로봇 CAPEX(자본적지출)는 경기에 매우 민감하다"며 "올해 2분기 국내 로보틱스 섹터 19개 기업 중 매출액 성장 기업은 5개에 불과했다"고 말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휴머노이드( 레인보우로보틱스 ), 정밀 액추에이터(로보티즈), 물류 자동화(현대무벡스, 씨메스 , 클로봇 ) 분야가 활발한 연구개발(R&D) 및 고객사 투자 확대에 힘입어 선방했다. 협동로봇( 두산로보틱스 , 뉴로메카 ), 전통 산업용 로봇은 경기 둔화, 관세 불확실성 등 영향에 실적이 매우 부진했다
최선호주로는 로보티즈, 현대무벡스를 꼽았다. 최 연구위원은 "로보티즈는 피지컬 인공지능(AI) 시대에 폭발적으로 늘어날 고정밀 액추에이터 수요에 대비해 1000억원 증자 결정했다"며 "현대무벡스는 상반기 매출액이 32% 증가했으며 하반기 다수의 수주성과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관심 기업으로는 두산로보틱스, 씨메스, 제이브이엠 을 제시했다. 그는 "두산로보틱스와 씨메스는 올해보다 내년 실적이 기대되는 기업"이라며 "제이브이엠은 의료기기로 분류돼 있지만, 로봇 및 자동화 기술이 대거 집약된 로봇 기업이다. 코로나 이후 지속적인 이익 증가에 따라 재평가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최 연구위원은 "지금은 협동 로봇, 산업용 로봇 기업이 소외당하고 있지만, ROI가 개선되는 내년 하반기부터 반등 가능성을 주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대현 기자 kdh@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