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투자증권은 2일 "한국에선 구조적으로 로봇 산업이 성장할 수밖에 없다"며
로보티즈
로보티즈
10849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97,850
전일대비
5,050
등락률
-4.91%
거래량
1,886,425
전일가
102,900
2025.09.03 13:55 기준
관련기사
분위기 좋은 비만치료제 테마...비중확대를 고려 중이었다면? 9월 증시, 바구니에 담아둬야 할 ‘숨은 진주’는 [특징주]'1000억 유상증자' 로보티즈, 5.66%↓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와
현대무벡스
현대무벡스
31940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6,350
전일대비
300
등락률
+4.96%
거래량
34,461,093
전일가
6,050
2025.09.03 13:55 기준
관련기사
[특징주]현대무벡스, 가장 빠른 수주 성장 기대 현대무벡스 무인이송로봇, '레드닷 디자인' 본상 수상 [클릭 e종목]"현대무벡스, 물류 자동화 구조적 성장에 주주환원까지"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를 관련 최선호주로 제시했다.
이날 최승환 신한투자증권 연구위원은 "로봇주는 당분간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휴머노이드·지능형 로봇 부품 밸류체인(가치사슬) 기업과 대기업의 지분투자를 받은 기업, 물류 등 특화 영역에서 매출 성장을 이뤄낸 기업에 주목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최 연구위원은 노란봉투법 통과와 무관하게 로봇 산업의 성장이 필연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달 24일 노란봉투법이 국회를 통과하고, 이튿날 주요 로봇 기업의 주가는 평균 10% 상승했다. 최근 기업의 안전 책임이 강화되는 분위기에서 잠재적인 노동쟁의 리스크까지 가세했다"면서도 "노란봉투법은 로봇 산업 성장을 앞당기는 수많은 요인 중 하나에 불과하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한국 기업이 당면한 노동력 부족, 인건비 상승이라는 구조적 문제 속에서 로봇 투자 확대는 필연적"이라며 "우리나라는 산업용 로봇 보급률 세계 1위(제조업 노동자 1만명당 약 1012대)이며, 제조업이 즐비한 글로벌 최고의 시험 무대다"고 말했다.
글로벌 금리 고착화, 지정학 리스크에 따라 로봇 설치 속도는 아직 시장 기대를 밑돌고 있다. 최 연구위원은 "아직은 로봇의 ROI(투자 대비 수익)가 노동력을 본격 대체할 정도로 높지 않기 때문에, 기업의 로봇 CAPEX(자본적지출)는 경기에 매우 민감하다"며 "올해 2분기 국내 로보틱스 섹터 19개 기업 중 매출액 성장 기업은 5개에 불과했다"고 말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휴머노이드(
레인보우로보틱스
레인보우로보틱스
27781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274,000
전일대비
1,500
등락률
-0.54%
거래량
44,952
전일가
275,500
2025.09.03 13:55 기준
관련기사
6거래일만에 外人 순매수…韓 증시 1%내외 반등 코스피 반등 개장…장 초반 3150대 유지 반도체 부진·외국인 매도세…코스피, 3140대 마감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 정밀 액추에이터(로보티즈), 물류 자동화(현대무벡스,
씨메스
씨메스
47540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24,800
전일대비
0
등락률
0.00%
거래량
292,449
전일가
24,800
2025.09.03 13:55 기준
관련기사
[클릭 e종목]"씨메스, 쿠팡 물류 인프라 투자 확대에 수혜 기대" [특징주]3대 로봇 '원천기술' 씨메스…쿠팡 3조 물류자동화 투자 최대 수혜 기대 [특징주]씨메스, 국내 유일 지능형 로봇 솔루션 보유…"고성장 기대"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
클로봇
클로봇
46610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19,680
전일대비
370
등락률
-1.85%
거래량
1,396,811
전일가
20,050
2025.09.03 13:55 기준
관련기사
[클릭 e종목]"클로봇, 자회사 성장·정부 R&D확대 수혜 기대" 씨아이테크, 클로봇과 AI 자율주행 로봇 공동 개발 전략적 제휴 [클릭 e종목]"클로봇, 로봇산업의 중심 소프트웨어로 대전환"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 분야가 활발한 연구개발(R&D) 및 고객사 투자 확대에 힘입어 선방했다. 협동로봇(
두산로보틱스
두산로보틱스
45491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61,000
전일대비
1,000
등락률
-1.61%
거래량
102,115
전일가
62,000
2025.09.03 13:55 기준
관련기사
[마켓 ING]관세 불확실성에 주춤한 코스피, 3200선 탈환할까 [클릭 e종목]"두산, 원전·로봇 자회사 가치 증가" [특징주]두산로보틱스, AI 접목 기술 부각↑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
뉴로메카
뉴로메카
34834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25,250
전일대비
50
등락률
+0.20%
거래량
153,182
전일가
25,200
2025.09.03 13:55 기준
관련기사
뉴로메카, 차세대 휴머노이드 도약 준비…AI 기반 '모방학습·충돌회피' 혁신 기술 탑재 '조선강국' 코리아 新무기…뉴로메카-HD현대삼호, 선박용 AI로봇 개발 '맞손' [특징주]사람을 베끼는 'AI 로봇'…뉴로메카, 레인보우·두산로보 넘본다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 전통 산업용 로봇은 경기 둔화, 관세 불확실성 등 영향에 실적이 매우 부진했다
최선호주로는 로보티즈, 현대무벡스를 꼽았다. 최 연구위원은 "로보티즈는 피지컬 인공지능(AI) 시대에 폭발적으로 늘어날 고정밀 액추에이터 수요에 대비해 1000억원 증자 결정했다"며 "현대무벡스는 상반기 매출액이 32% 증가했으며 하반기 다수의 수주성과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관심 기업으로는 두산로보틱스, 씨메스,
제이브이엠
제이브이엠
05495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30,650
전일대비
150
등락률
+0.49%
거래량
144,104
전일가
30,500
2025.09.03 13:55 기준
관련기사
[클릭 e종목]"제이브이엠, 실적 성장 동력 강화…목표가↑" [특징주]'깜짝 실적' 제이브이엠, 증권가 목표가 줄상향에 신고가 [클릭 e종목]"제이브이엠, 유럽·북미 수출 증가…목표가 3만5000원"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을 제시했다. 그는 "두산로보틱스와 씨메스는 올해보다 내년 실적이 기대되는 기업"이라며 "제이브이엠은 의료기기로 분류돼 있지만, 로봇 및 자동화 기술이 대거 집약된 로봇 기업이다. 코로나 이후 지속적인 이익 증가에 따라 재평가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최 연구위원은 "지금은 협동 로봇, 산업용 로봇 기업이 소외당하고 있지만, ROI가 개선되는 내년 하반기부터 반등 가능성을 주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대현 기자 kd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