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그냥 하루 보냈을 뿐인데…'폐암' 위험 높이는 '이것' 매일 6만8000개 흡입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프랑스 툴루즈대 연구팀 논문

성인이 하루 동안 실내에서 초미세 플라스틱 입자 약 6만8000개를 흡입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집이나 자동차 등 실내에 머무는 동안 공기 중에 떠다니는 아주 작은 미세플라스틱을 마시게 된다는 것이다.


28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 등에 따르면 프랑스 툴루즈대 소속 연구팀은 주거 공간과 자동차 내에 부유하는 1~10㎛(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크기의 미세플라스틱 농도를 라만 분광법으로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고 밝혔다. 기존 연구 방식은 10~20㎛ 크기 이상의 입자만 포착할 수 있었지만, 라만 분광 기법을 통해 초미세입자까지 잡아내는 것이 가능해졌다. 라만 분광법은 레이저를 쏠 때 나타나는 빛의 산란 현상을 통해 물질의 특성을 밝혀내는 방법이다.

사진은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임. 픽사베이

사진은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임. 픽사베이

AD
원본보기 아이콘

연구팀은 프랑스의 아파트 및 자동차 내부에서 공기 샘플을 수집해 미세 플라스틱 농도를 측정했다. 분석 결과, 주거 공간의 공기 중에 떠다니는 총 미세플라스틱(MPs)의 중앙값 농도는 528 MPs/㎥로 집계됐다. 집 공기에서 검출된 미세플라스틱 중에서는 폴리에틸렌이 76%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주거 공간의 미세플라스틱은 의류나 주방용품, 카펫 등에서 주로 나온다.

자동차 안의 미세플라스틱 농도는 주거 공간보다 약 4배 이상 높은 2238 MPs/㎥나 됐다. 자동차 내부는 좁고 환기가 잘되지 않는 데다 스티어링 휠, 문손잡이, 대시보드 등 내장재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이다. 관찰된 미세플라스틱의 97%는 부서진 조각 형태였으며, 94%는 1~10㎛ 이하의 크기로 측정됐다. 연구팀은 이 집계치 등을 근거로 성인이 하루에 실내에서 1~10㎛ 크기의 미세플라스틱 약 6만8000개를 흡입한다고 추정했다.

머리카락 굵기의 약 7분의 1 크기

1~10㎛는 머리카락 굵기의 약 7분의 1 크기로, 입자가 매우 작아 폐·혈관·태반 등 몸속 곳곳에 더 쉽게 침투할 수 있다. 연구팀은 "미세플라스틱 흡입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클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연구팀은 미세플라스틱 흡입을 막기 위해 플라스틱 제품 사용을 줄이고, 대신 목재나 금속·천연섬유와 같은 제품을 사용하라고 조언했다. 또 고성능 헤파 필터가 장착된 공기청정기와 청소기를 사용하고 환기와 청소를 자주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만성 폐 염증 등 건강에 악영향 가능성

그동안 미세플라스틱은 주로 음식과 물을 통해 체내에 들어오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이에 가디언은 "이 새로운 연구는 대기 오염의 위험성을 강조한다"면서 "미세플라스틱은 폐암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성 폐 염증과도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논문은 지난달 오픈액세스 학술지 '플로스 원'에 게재됐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