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광복절 연휴에 일본여행 어때?…"그건 아니지" vs "내 맘인데 뭐 어때"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이한 가운데 광복절에 대한 인지도와 역사인식, 일본에 대해서는 세대간 인식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픽사베이

픽사베이

AD
원본보기 아이콘

14일 데이터 컨설팅 기업 ㈜피앰아이(PMI)는 'GS&패널'을 통해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2025년 광복절 인식' 조사를 진행한 결과를 발표했다.

인지도, 60대 92.5%, 30대는 72.4%로 가장 낮아

우선 '광복절의 의미·하는 일·날짜를 알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전체 82.4%였다. 연령별로는 60대가 92.5%로 가장 높았고, 50대(85.3%), 40대(79.4%), 20대(77.7%), 30대(72.4%) 순이었다. 이는 2023년 동일 조사(83.4%)와 유사하지만, 올해는 20~40대 모두 전체 평균(82.4%)을 밑도는 응답률을 보였다.

지난해 광복절을 이틀 앞두고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에서 태극기로 장식한 택시를 탑승한 독립유공자 가족이 태극기를 흔들고 있다. 강진형 기자

지난해 광복절을 이틀 앞두고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에서 태극기로 장식한 택시를 탑승한 독립유공자 가족이 태극기를 흔들고 있다. 강진형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광복절을 '중요하다'고 답한 비율은 전체 응답자의 87.8%였다. 중요도에 대한 공감은 60대(95.2%), 40대(90.1%), 50대(89.4%)는 평균을 웃돌았으나, 30대(81.0%)와 20대(77.3%)는 타 연령대 대비 낮게 나타났다. 연령이 낮아질수록 광복절에 대한 중요성 인식 비율이 줄어드는 경향이 나타났다.

애국 마케팅 긍정 평가…일본 캐릭터 소비 영향 "있다" 43.6%

올해 광복절(8월 15일·금요일) 계획으로는 '집에서 쉴 예정'이 58.4%로 가장 많았다. 이어 '특별한 계획 없음'(16.4%)과 '가족·지인 모임'(12.3%)이 뒤를 이었다. 반면, 광복절에도 '일할 예정'이라고 답한 비율이 10.2%로, '국내 여행'(9.6%), '광복절 행사 참여'(5.7%), '해외여행'(1.6%)보다 높았다.(복수 응답 결과)


기업·브랜드의 광복절 애국 마케팅 및 캠페인에 대한 의견은 80.7%가 긍정적으로 답했다. 이 중 19.7%는 "이러한 캠페인에 우선적으로 참여하거나 이용한다"고 응답했다.

한국조폐공사와 성심당이 광복 80주년을 맞이해 공동 개발해 출시·판매한 광복절빵. 한국조폐공사

한국조폐공사와 성심당이 광복 80주년을 맞이해 공동 개발해 출시·판매한 광복절빵. 한국조폐공사

원본보기 아이콘

일본 여행, '부적절하다' vs '개인 자유' 의견 비슷

최근 유통·패션·식음료 업계를 중심으로 일본 캐릭터를 활용한 협업 상품과 마케팅이 활발히 전개되는 가운데, 광복절 기간 이러한 일본 브랜드·캐릭터 제품을 접했을 때 '소비를 줄이거나 피하겠다'는 응답이 43.6%로 나타났다. '보통'은 32.7%, '영향 없다'는 23.7%였다. 세대별로는 40대(48.4%)가 가장 높고, 20대(36.8%)가 가장 낮아 두 집단 간 11.6%포인트 차이가 있었다.


여름 휴가철 사람들로 붐비는 인천공항. 강진형 기자

여름 휴가철 사람들로 붐비는 인천공항. 강진형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광복절 연휴 일본 여행에 대한 인식은 '시기가 부적절하다'(29.8%)와 '개인적으로는 신경 쓰지 않지만 사회적으로는 민감할 수 있다'(29.2%)가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개인의 자유이며 문제없다'(19.2%), '대체 여행지를 고려해야 한다'(12.3%), '특별히 생각해본 적 없다'(9.5%) 순으로 다양한 의견이 확인됐다.

㈜피앰아이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특정 세대를 평가하기보다, 시점별 인식 현황을 수치로 보여주는 데 의미가 있다"며 "향후 변화 추이를 지속적으로 분석해, 세대 간 인식 격차를 줄일 수 있는 정책·커뮤니케이션 방향 설정에 참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