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아들, 아들" 외치더니 이젠 "딸바보 될거야"…韓 세계 1위 찍었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한국 사회에서 30년 전과 정반대의 출산 선호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과거 '아들은 있어야 한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던 시대에서 이제는 '딸이 더 좋다'는 응답이 전 세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자녀 성별 선호도에 대해 물은 결과 '딸이 하나는 있어야 한다'는 데 동의하는 사람은 62%였고 '아들이 하나는 있어야 한다'는 데 동의하는 사람은 36%였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아들 있어야"에서 "딸이 더 좋다"로
여아 선호율 세계 1위

기사 내용과 무관한 자료사진. 픽사베이

기사 내용과 무관한 자료사진. 픽사베이

AD
원본보기 아이콘

한국 사회에서 30년 전과 정반대의 출산 선호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과거 '아들은 있어야 한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던 시대에서 이제는 '딸이 더 좋다'는 응답이 전 세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11일 여론조사기관 갤럽 인터내셔널이 2024년 10월부터 올해 2월까지 44개국 성인 4만4783명을 대상으로 "아이를 한 명만 가질 수 있다면 어떤 성별을 원하느냐"고 물은 결과 한국 응답자의 28%가 '딸'을 꼽았다. 아들을 선호한다는 응답(15%)보다 10%포인트 이상 높은 수치다. 이는 일본·스페인·필리핀(26%), 방글라데시(24%) 등을 제치고 딸 선호율 1위에 해당한다.

반면 1992년 같은 조사에서는 한국인의 58%가 아들을, 10%가 딸을 원한다고 각각 답했다. 약 30년 만에 선호 성별이 완전히 뒤바뀐 셈이다. 연령별로 보면 60대 이상만 아들 선호(23%)가 딸(20%)보다 높았고 특히 30·40대 여성의 절반 가까이가 '딸'을 선택하는 등 세대별 차이도 두드러졌다.

자녀·육아 인식조사 "딸은 꼭 있어야"

한국리서치가 2024년 6월 발표한 '2024 자녀·육아인식조사'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자녀 성별 선호도에 대해 물은 결과 '딸이 하나는 있어야 한다'는 데 동의하는 사람은 62%였고 '아들이 하나는 있어야 한다'는 데 동의하는 사람은 36%였다.


출생성비 변화에서도 이 흐름은 확인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1990년 여아 100명당 남아 수는 116.5명이었으나 2023년에는 105.1명으로 자연 성비 범위(103~107명)에 진입했다. 2000년대 초까지 110명을 웃돌던 수치가 2008년 이후 안정화된 것이다.

성 역할 인식 변화·돌봄 구조가 영향

한국 사회에서 여아 선호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사진은 기사와는 무관. 아시아경제DB

한국 사회에서 여아 선호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사진은 기사와는 무관. 아시아경제DB

원본보기 아이콘

지난 6월 영국 이코노미스트는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여러 지역에서 딸 선호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한국은 대표적인 사례"라고 보도했다. 남아 선호가 후퇴하고 딸 선호 현상이 나타난 이유에 대해서는 ▲성 역할 인식 변화 ▲미혼 남성 증가 ▲여성 혐오에 대한 사회적 반성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다.


노후 부양과 돌봄 부담도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한양대 임상 간호대학원 연구에 따르면 치매 노인을 주로 돌보는 가족의 82.4%가 여성이었고 이 중 '딸'의 비율이 42.4%로 가장 높았다. 아들은 15.2%에 그쳤다.

이 같은 변화는 단순한 인식 전환을 넘어 저출산·고령화 시대의 가족 구조와 돌봄 문화 전반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과거 '아들을 낳아야 가문을 잇는다'는 사고가 사라지고 '딸이 부모의 노후를 더 잘 지켜준다'는 믿음이 대체하고 있다.





박은서 인턴기자 rloseo8@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