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클릭 e종목]"한화솔루션, 하반기 실적 전망↓…투자의견 중립"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하나증권은 31일 한화솔루션 에 대해 투자의견을 기존 매수에서 중립으로 낮추고, 목표주가를 4만원에서 3만3000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클릭 e종목]"한화솔루션, 하반기 실적 전망↓…투자의견 중립"
AD
원본보기 아이콘

윤재성 하나증권 연구원은 이날 "올해와 내년 추정치를 조정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은 1021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흑자 전환했지만, 시장 평균 전망치를 27% 하회했다. 케미칼의 적자 폭 축소에도, 신재생의 회복이 더뎠다. 지배순이익은 2016억원 적자로 시장 평균 전망치를 대폭 밑돌았다. 신재생 영업이익은 1562억원으로 기대치에 못 미쳤다. 주택용 에너지 영업이익은 552억원(영업이익률 12%)으로 축소됐다.

3분기 영업이익은 1604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동기 대비 적자가 지속되고, 전분기 대비로는 큰 폭의 적자 전환이다. 윤 연구원은 "신재생 영업이익은 1230억원을 전망한다"며 "원부자재 관세 영향과 셀 품질 이슈에 따른 가동률 저하로 고정비 부담이 증가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하반기 영업이익 시장 평균 전망치는 5820억원이지만, 하나증권은 1105억원 적자를 추정했다. 내년 또한 기존 대비 28% 하향했다 윤 연구원은 "주택용 에너지 사업은 IRC 25D(주거용 청정에너지 세액공제) 축소로 시장 규모가 위축되는 데다, TPO(제3자소유) 시장에서의 경쟁자 출현 가능성, 정책 불확실성에 따른 판매비 증가 등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모듈 사업에 대해서는 "원부자재에 대한 관세, 비중국 제품 확보 과정에서 원가 상승을 겪게 된다"며 "이를 판가에 완벽히 전가할 수 있는 환경은 적어도 하반기에는 나타나기 힘들다"고 전망했다.

그는 "투자의견 변경은 내년 초 검토할 계획"이라며 "중국 업체의 미국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수취가 불가능하고, 인니·라오스·인도의 반덤핑 관세가 확정되며 긍정적인 환경이 펼쳐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김대현 기자 kdh@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