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생산공장 이전 신속 전환 영향"
인도가 중국을 제치고 올 2분기 미국에 스마트폰을 가장 많이 수출했다. 미국과 중국이 관세 전쟁을 벌이는 가운데, 애플 등 스마트폰 기업들의 미국 판매 제품에 대한 제조 공급망을 중국에서 인도로 빠르게 이동한 결과로 풀이된다.
연합뉴스는 29일 경제매체 CNBC를 인용해 2분기 미국으로 수입된 스마트폰 중 인도산 비중은 작년 동기의 13%에서 올해 44%로 급증했다고 보도했다. 전년 동기(13%) 대비 세 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시장조사업체 커날리스에 따르면, 뒤를 이은 건 삼성으로 31%를 차지했다. 모토로라는 12%, 구글과 TCL은 각각 3%였으며 기타 제조사 합산 점유율은 3%였다.
전체 출하량 기준으로는 240% 급증했다. 반면 이 기간 중국산 스마트폰의 비중은 전년 동기 61%에서 25%로 급감했고, 베트남(30%)에도 밀렸다.
"인도산 수출 크게 늘어"
카날리스 수석 애널리스트 사냠 차우라시아는 "미·중 무역 불확실성 속에서 애플이 미국 판매용 아이폰 생산 거점을 인도로 신속히 전환하면서 인도산 수출이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2분기 미국 전체 스마트폰 출하량은 1% 증가에 그쳐 실제 시장 수요는 미지근했던 것으로 분석됐다.
카날리스는 "압박받는 경제 환경 속에서 수요가 둔화하고 있으며, 공급(셀인)과 실제 판매(셀스루) 간의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애플은 향후 전 세계 아이폰 생산량의 약 25%를 인도에서 제조한다는 방침이다. 애플은 인도에서 아이폰16 프로 모델의 조립을 시작했지만, 프리미엄 모델의 미국 공급은 여전히 중국의 제조 인프라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고 카날리스는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애플의 최고경영자(CEO) 팀 쿡을 꼭 집어 거론하며 아이폰을 미국에서 생산하지 않으면 추가로 관세를 물어야 할 것이라고 엄포를 놓은 바 있다.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이 벌이는 관세 전쟁에서 핵심 표적으로 떠 오르며 미국에 가장 높은 관세를 부담하는 국가가 됐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1만원에 가족이 다 먹는다…냉면 매니아들 '이것'으로 갈아탔다[주머니톡]](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4053009542689803_1717030467.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