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청소부터 재고관리까지…日 편의점 '1인 3역'직원 누군가 했더니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훼미리마트, AI카메라 탑재 로봇 도입
매장 청소하면서 재고 파악…상품 홍보도

일본 편의점 업계가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력난을 해결하기 위해 로봇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26일 니혼게이자이(닛케이)에 따르면 일본 훼미리마트는 청소, 재고 관리, 제품 홍보 등 3가지 역할을 모두 수행하는 로봇을 도입할 예정이다. 인공지능(AI) 카메라를 탑재한 이 로봇은 하루 4~5회 매장 바닥 청소를 하면서 동시에 제품 진열대 사진을 촬영한다. 만약 진열대 위 상품 재고가 줄어들었으면 즉시 점주에게 재고 보충 알림을 보낸다. 이와 함께 이 로봇에는 추천 상품을 전시하는 판촉 디스플레이도 탑재돼 고객에게 상품 홍보도 할 수 있다.

일본 편의점 훼미리마트. 훼미리마트 홈페이지

일본 편의점 훼미리마트. 훼미리마트 홈페이지

AD
원본보기 아이콘

훼미리마트는 내년부터 일본 전역에 1000대 이상의 로봇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로봇 도입은 편의점 운영의 번거로움을 없애고 노동력 부족에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또 매장 천장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 등과 비교해 비용 부담은 더 적다. 여러 대의 카메라를 설치할 필요 없이 로봇 한 대로 매장 전체를 촬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훼미리마트 가맹점주 60%는 여러 개의 점포를 운영하고 있어서 로봇을 도입하면 재고 확인을 위해 여러 매장을 돌아다녀야 하는 수고 또한 덜 수 있다.

훼미리마트는 2020년부터 점포 150곳에서 매장 재고를 파악하고 채워 넣는 로봇을 도입했다. 음료를 기준으로 하루에 최대 1000개를 채워 넣을 수 있는데, 이 '아르바이트 로봇' 도입 덕분에 전체 업무량의 20%가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훼미리마트 외 다른 편의점 업체들도 로봇 도입에 적극적이다. 로손은 지난달 도쿄 신규 매장에 음료 진열을 자동화하는 로봇을 도입했으며, 세븐일레븐은 오사카 간사이 엑스포 매장에서 직원 얼굴을 스크린에 띄운 접객 로봇을 시범 운영 중이다. 이 로봇은 매장을 돌아다니며 기계 조작 등에 어려움을 겪는 고객을 돕는다.


시장조사업체 글로벌인포메이션에 따르면 전 세계 소매업 로봇 시장은 2030년 571억달러(약 79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2024년 대비 4.6배 더 커진 규모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