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 특정 개인·계파 전유물 아니야"
윤희숙 국민의힘 신임 혁신위원장은 9일 "당 문을 닫고 다시 여는 정도의 혁신안이 마련돼야 한다"며 "국민 눈높이에 맞는 혁신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윤희숙 정책총괄본부 공약개발단장이 18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김문수 대선 후보 경제 공약 발표 후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 위원장은 이날 오후 국회 본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혁신의 주체는 당원"이라며 "혁신 대상 등을 정하는 건 당원이고, 당원이 의사를 표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혁신위원들의 사명"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혁신안을 (지도부에) 제안했을 때 지도부가 만약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우리 당은 쓰러지는 수밖에 없다"며 "지금 이미 쓰러져있기 때문에 다시 일어나지 못한다는 표현이 맞다"고 했다.
다만 윤 위원장은 국민의힘 인적청산 여부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말하지 않았다.
윤 위원장은 전임 혁신위원장이었던 안철수 의원이 지난 대선 후보 교체 파동 책임이 있는 권영세 전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전 원내대표 인적 청산을 요구하다 사퇴한 것에 대해 "우리 당원은 어떤 개인에게도 특정인들에게 칼을 휘두를 권한을 준 적이 없다"고 말했다.
윤 위원장은 "혁신은 특정 개인이나 특정 계파의 전유물이 아니다"며 "저는 어떤 칼도 당원들로부터 위임받은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또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로부터 혁신을 위한 전권을 약속받았느냐는 질문에도 "묻지도 않았다"며 "전권 미리 받고 안 받고의 문제가 중요하지 않다"고 일축했다.
윤 위원장은 "국민들께서 국민의힘에 가장 많이 하시는 말이 '정당 문 닫아라'"라며 "그 눈높이를 맞추기 위해서는 당문을 다시 닫고 여는 정도의 혁신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했다.
혁신위는 윤 위원장과 재선의 최형두 의원, 호준석 대변인, 이재성 여의도연구원 부원장, 김효은 전 교육부장관 정책보좌관, 배지환 수원시의회 의원 총 6인 체제로 구성됐다.
당초 계획했던 7인이 아닌 6인 체제로 출범한 것에 대해 윤 위원장은 "워낙 시간이 많지 않은 상황"이라며 "인선에 더 시간을 쓸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단독] "자식이 안 물려받는다는데"…이제 '남'에게도 기업 승계 가능해진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3022008325229068_1676849573.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