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희숙 국민의힘 신임 혁신위원장은 9일 "당 문을 닫고 다시 여는 정도의 혁신안이 마련돼야 한다"며 "국민 눈높이에 맞는 혁신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윤 위원장은 이날 오후 국회 본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혁신의 주체는 당원"이라며 "혁신 대상 등을 정하는 건 당원이고, 당원이 의사를 표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혁신위원들의 사명"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혁신안을 (지도부에) 제안했을 때 지도부가 만약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우리 당은 쓰러지는 수밖에 없다"며 "지금 이미 쓰러져있기 때문에 다시 일어나지 못한다는 표현이 맞다"고 했다.
다만 윤 위원장은 국민의힘 인적청산 여부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말하지 않았다.
윤 위원장은 전임 혁신위원장이었던 안철수 의원이 지난 대선 후보 교체 파동 책임이 있는 권영세 전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전 원내대표 인적 청산을 요구하다 사퇴한 것에 대해 "우리 당원은 어떤 개인에게도 특정인들에게 칼을 휘두를 권한을 준 적이 없다"고 말했다.
윤 위원장은 "혁신은 특정 개인이나 특정 계파의 전유물이 아니다"며 "저는 어떤 칼도 당원들로부터 위임받은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또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로부터 혁신을 위한 전권을 약속받았느냐는 질문에도 "묻지도 않았다"며 "전권 미리 받고 안 받고의 문제가 중요하지 않다"고 일축했다.
윤 위원장은 "국민들께서 국민의힘에 가장 많이 하시는 말이 '정당 문 닫아라'"라며 "그 눈높이를 맞추기 위해서는 당문을 다시 닫고 여는 정도의 혁신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했다.
혁신위는 윤 위원장과 재선의 최형두 의원, 호준석 대변인, 이재성 여의도연구원 부원장, 김효은 전 교육부장관 정책보좌관, 배지환 수원시의회 의원 총 6인 체제로 구성됐다.
당초 계획했던 7인이 아닌 6인 체제로 출범한 것에 대해 윤 위원장은 "워낙 시간이 많지 않은 상황"이라며 "인선에 더 시간을 쓸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