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美관세시 수출 의존도 높은 日항공기·건설기계 타격 클 듯"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니혼게이자이신문 보도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로이터연합뉴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로이터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예고한 대로 8월 1일 일본 수입품에 25% 상호관세를 매길 경우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항공기 부품과 건설기계 업종의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됐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8일 미국 수출 비중이 높은 품목으로 ▲항공기 부품 ▲건설·광산 기계 ▲금속 가공 기계 ▲자동차 ▲자동차 부품 등을 꼽으며 이 같은 우려가 존재한다고 전했다.

항공기 부품은 대부분이 미국향 수출 품목이다. 가령 2012년 기준 3079억엔의 항공기 부품 수출액 중 76.5%를 미국이 차지했다. 일례로 IHI의 경우, 제너럴일렉트릭(GE)과 프랫앤휘트니(P&W)가 제조하는 민간 항공기 엔진의 부품을 제작한다.


건설·광산 기계에서도 미국향 비중이 절반(50%) 이상을 차지한다. 대표적인 건설기계 업체인 고마쓰의 경우, 전체 매출의 30%가 북미 지역에서 발생한다. 고마쓰는 관세 부담을 가격에 녹임으로써 전가하는 전략을 구사하는 동시에 부품 조달 체계 자체도 바꿀 계획이다.


미국 수출 비중이 30~50%에 달하는 금속 가공 기계와 자동차 및 차 부품류는 품목별 관세 대상인 만큼 협상 여력이 제한적이라 부담이 더 크다. 현재 자동차 관세는 25%며, 철강·알루미늄은 50%에 이른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오는 8월 1일부터 일본에 대해 새로운 상호관세 25%를 부과하겠다고 이날 발표했다. 일본에 적용하는 상호관세는 종전 24%에서 25%로 1%포인트 인상됐다. 백악관은 또 국가별로 보낸 서한에 적힌 상호 관세는 품목별 관세와 별도라고 확인했기 때문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상호관세에는 협상의 여지를 남겨둔 반면, 자동차·철강 등 품목별 관세는 '제재 카드'로 활용하겠다는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시바 내각은 인상된 관세에 유감을 표명하면서도 양국에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협상을 지속해나간다는 방침이다. 미즈호리서치앤테크놀로지에 따르면 10% 상호관세와 품목별 관세로 인해 북미 수출이 감소하면 일본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0.2% 하락할 전망이다. 상호관세가 25%로 인상되면 GDP 하락폭은 0.4%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됐다.


쓰쓰이 요시노부 일본경제인단체연합회(게이단렌) 회장은 전일 기자회견에서 "(상호관세 인상은) 매우 심각한 영향을 초래할 것"이라며 "일본 기업들의 투자 전략에서 예측 가능성과 수익성 모두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비판했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