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확 바뀐 中企 '수출 지도'…사우디·대만·폴란드 급부상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트럼프 관세 조치로 미·중 수출 부진
사우디·대만 등 10% 넘게 늘어
"제3국 중심 수출 흐름 계속될 것"

트럼프발(發) 관세 정책의 영향으로 국내 중소기업의 '수출 지도'가 변화하고 있다. 이전까지 핵심 수출국이었던 미국·중국과의 거래액은 감소한 반면 사우디아라비아·대만·폴란드 등 제3국이 신흥 수출국으로 떠오르는 양상이다. 전문가들은 미·중이 촉발한 통상전쟁이 글로벌 공급망을 재편하고 있어 당분간 이런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확 바뀐 中企 '수출 지도'…사우디·대만·폴란드 급부상
AD
원본보기 아이콘

2일 한국무역통계진흥원의 무역통계에 따르면 국내 중소기업의 올해 1~5월 대미 수출액은 75억88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80억2300만달러) 대비 5.42% 감소했다. 지난 4월부터 트럼프 행정부가 자동차·철강·알루미늄 등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미국에 부품과 중간재를 수출하던 국내 중소기업들이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풀이된다.

대중 감소세도 두드러졌다. 같은 기간 대중 수출액은 80억100만달러에서 74억3400만달러로 7% 넘게 줄었다. 업계 관계자는 "소비 심리 위축과 미국의 고율 관세가 겹치면서 중국 상황은 훨씬 더 복잡하다"며 "중국에 부품·소재·중간재 등을 수출함으로써 미국에 우회 수출하던 국내 중소기업들의 교역이 위축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확 바뀐 中企 '수출 지도'…사우디·대만·폴란드 급부상 원본보기 아이콘

주목할 점은 기존에 비중이 크지 않던 국가들이 신흥 수출 시장으로 조금씩 떠오르고 있다는 점이다. 같은 기간 사우디아라비아 수출액은 5억29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5.25% 뛰었고, 대만도 11억2300만달러에서 12억3600만달러로 10.06% 증가했다. 폴란드(8.14%), 캄보디아(5.0%) 등의 수출액도 예년보다 큰 폭으로 늘었다. 이 영향으로 중소기업 전체 수출액은 핵심 수출국들과의 거래가 부진함에도 불구하고 485억원에서 461억원으로 4.94% 감소하는 데 그쳤다.


전문가들은 불확실한 통상 환경 속에서 국내 중소기업들이 적극적인 수출 다변화 전략을 펼친 결과라고 분석했다. 인공지능(AI), 바이오·헬스 등 첨단 산업뿐 아니라 반도체·철강·화장품 등 기존 주력 품목도 일정 부분 새로운 시장으로 분산됐다. 국제무역통상연구원 양지원 수석연구원은 "SK하이닉스 등 국내 기업과 대만 TSMC 간 협력이 강화되면서 대만으로의 반도체 수출이 증가했고, 폴란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방산 수요가 늘었다"며 "중국과 미국에 집중됐던 화장품 수요도 일부 분산됐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보호무역주의를 기반으로 한 글로벌 통상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제3국 중심의 수출 흐름은 당분간 더 심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서희 기자 dawn@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