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을 행정수도로…대전·충남 통합
광역교통망 확충하고 첨단산업 육성
국민의힘은 16일 국회의사당을 세종으로 완전 이전하고 대통령실 제2집무실도 조기에 건립하겠다고 약속했다. 대전과 충남을 통합해 성장축으로 만들고, 충청권 광역교통망도 확충한다.
국민의힘 정책총괄본부는 이날 오후 "충청권이 '균형발전의 핵심축이자 미래산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교통망 확충, 과학기술 혁신, 지역경제 활성화, 행정수도 완성 등에 역점을 두겠다"며 이같은 공약을 발표했다.
우선 국정운영 효율을 높이고 지역 균형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국회의사당을 세종으로 이전하는 등 세종을 행정수도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기존 '국회세종의사당의 설치 및 운영 등에 관한 규칙'에 따른 일부 이전이 아니라 여의도 국회의사당 잔류 없이 완전 이전하겠다는 설명이다.
또 세종 대통령 제2집무실도 조기에 건립한다. 아직 서울 등 수도권에 남아있는 여성가족부, 법무부 등 정부부처와 대통령소속위원회(7개), 행정위원회(4개) 역시 세종으로 이전한다.
국민의힘은 "여의도 의사당과 세종 의사당 중복 배치에 따른 비효율을 없애고, 세종시를 명실상부한 행정수도로 자리매김시키겠다"며 "행정부 및 입법부 간의 물리적 거리에 따른 시간, 비용도 절약될 것"이라고 했다.
행정수도 세종은 교통중심도시로 발전시키겠다고 약속했다.
조치원읍 도심구간 철도 지하화와 역사 재개발을 추진하고, 충청권 광역철도와 수도권 내륙선 광역철도를 연결해 서울~세종을 1시간 내로 연결한다. 도심 교통난 해소를 위한 세종시 제2외곽순환도로도 신설한다.
또 인공지능(AI) 중심 국가첨단산업단지 지정과 국가 양자컴퓨팅 알고리즘 연구센터 설립 등을 통해 세종을 국가 첨단산업 생태계의 중심 도시로 육성한다.
대전과 충남을 통합하는 등 행정체계 개편으로 '충청권 메가시티' 조성을 추진한다는 계획도 내놨다.
중부내륙특별법 개정으로 청주를 특례시로 지정해 지방 소멸에 대응하고 충남혁신도시 완성을 위한 공공인프라 조성에 나선다.
충북에는 AI와 첨단바이오가 융합된 'K-바이오 스퀘어'와 KAIST 오송 바이오 메디컬 캠퍼스타운을, 충남에는 에너지 산업벨트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속보]김문수 "윤석열, 계엄 잘못…내란은 재판중, 판단 남아 있어"](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51820172662122_1747567046.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