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사회든 회사든 기관장 비서 출신이 조직 내에서 잘나가는 경우가 적지 않다. 서울시나 25개 자치구도 사정이 다르지는 않다.
오세훈 시장이 10년 만에 컴백한 첫날 시청 1층 앞에서 마중한 사람이 정상훈 현 기조실장이다. 정 실장은 오 시장 수행 비서 출신이다. 정 실장은 오 시장 비서실장과 행정국장, 복지실장을 거쳐 지난달 기획조정실장에 발탁됐다. 업무 능력, 추진력이 뛰어나다는 평이다.
정 실장과 지방고시 3회 동기로 절친인 이동률 행정국장도 대변인을 거쳐 장수 행정국장을 맡고 있다. 오 시장 비서 출신으로는 박진영 미래한강본부장과 구종원 관광체육국장, 곽종빈 비서실장이 있다. 이들 모두 행정고시 출신이다.
박진영 본부장은 올 초 서초구 부구청장으로 추천받았으나 오 시장이 보내지 않고 중요한 미래한강본부장으로 발령낼 정도로 신임이 크다.
구종원 관광체육국장은 서울대 정치학과 졸업 후 행정고시에 합격해 교통정책과장 교통기획관 평생교육국장 등 주요 보직을 맡아왔다. 특히 평생교육국장 재임 시절 ‘서울런’을 안착시켜 어려운 가정의 청년들에게 신분 상승의 계단을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곽종빈 비서실장은 서울시립대 출신으로 무상급식 문제로 사퇴한 오 시장의 마지막 수행비서 출신이다.
서울시 자치구에서도 비서 출신들이 승승장구한 사례는 많다. 과거 강남구청장 최장수 수행비서 출신인 이동호 전 국장은 강남구의회 운영위원장으로 변신했다.
서초구 손용준 일자리경제과장, 성동구 조인동 기획예산과장, 금천구 김명훈 소년청소년과장, 도봉구 민창식 홍보정책과장, 동대문구 박상진 ·김영신 과장 등도 주요 보직을 맡고 있다.
이처럼 서울시나 자치구에서 비서 출신들이 잘 나가는 이유는 시장이나 구청장을 지근거리에서 모시면서 업무 능력은 물론 정무적 감각까지 배운 때문으로 풀이된다.
서울시 고위 관계자는 “비서 출신들은 기본적으로 성실한데다 업무 능력 또한 탁월하기 때문에 중용된 듯하다”고 했다.
박종일 기자 dream@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같이 못 앉겠다" "찬탄파 공론화해야" 성토장 된 국힘 의총[윤석열 파면]](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40415175098237_1743747469.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