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물산·삼성E&A, 배당확대 및 자사주 소각
DL이앤씨·GS건설, 배당 및 자사주 매입
중견 건설사도 배당 유지…주주가치 제고 노력
증권가, 건설업 반등기대…원가율·해외수주 주목
건설업계가 경기 침체와 대내외 리스크 속에서도 적극적인 주주 환원에 나섰다. 대부분 실적이 악화한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현금배당, 자사주 매입·소각 등을 실시하며 주주가치 제고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삼성물산 은 올해 보통주 및 우선주의 주주 배당을 각각 이전 대비 50원 오른 2600원, 2650원으로 결정했다. 삼성물산은 최근 약 93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도 완료했다. 삼성그룹의 또 다른 건설 계열사인 삼성E&A는 보통주 1주당 660원의 현금배당을 지급하기로 했다. 삼성E&A가 배당을 재개한 것은 2013년 이후 12년 만이다.
DL이앤씨 와 GS건설 도 주주환원 정책을 이어가며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고 있다. DL이앤씨는 올해 약 350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실행할 계획이다. GS건설은 올해 보통주 1주당 300원의 배당을 결정했다. 2년 만에 배당을 재개했다. GS건설은 '검단 아파트 붕괴사고' 여파로 지난해 배당을 건너뛰었다.
상장 대형 건설사 중에서 아직 현금배당이나 자사주 매입·소각 계획을 아직 공개하지 않은 곳은 현대건설 과 대우건설 이다. 현대건설은 배당 성향이 아닌 실적을 기준으로 배당을 결정한다. 지난해 약 1조2000억원 규모의 영업손실을 기록했기에 배당을 할 수 있을지 여부는 불투명하다. 2009년 이후 15년째 배당이 없었던 대우건설도 마찬가지다. 대신 현대건설의 경우 올해 들어 이한우 대표를 비롯해 13명의 임원이 자사주를 매입하며 '책임 경영'을 실천하고 있다.
업황 부진에 더 큰 영향을 받는 중견 건설사 상당수도 올해 현금배당을 계속 이어나간다. 계룡건설 은 지난해와 같은 보통주 1주당 400원의 배당을 결정했다. 아이에스동서 는 보통주 1주당 1000원의 현금배당을 결의했다. 지난해 주당 1500원에서 규모가 축소됐다. 그러나 지난해 영업이익이 ‘반토막’ 나는 등 주주환원이 쉽지 않은 상황에도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배당을 결정했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한편 증권가에서는 건설업에 대한 긍정적 전망도 잇따라 나오고 있다. 김기룡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건설업의 반등 포인트는 연중 반영될 주택 원가율 안정화와 해외 수주 성과"라며 "주택 원가율의 점진적 하향 기조에 주목해야 한다"고 했다. 장문준·강민창 KB증권 연구원은 "2022년부터 지속된 실적 우려가 누그러졌다"며 "그간 부각되지 못했던 원전, 소형모듈 원전(SMR), 우크라이나 종전 및 재건사업, 대북 관계 개선 가능성 등이 현실감 있게 다가올 것"이라고 했다.
오유교 기자 5625@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