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액 연봉이나 승진 보다 '가늘고 길게…정년까지'
전문가 "직무 전문성 인정 받고…평판 관리해야"
평균수명이 늘어나 '100세 시대'가 되면서 정년퇴직을 하나의 목표로 꿈꾸는 직장인들도 많다. 고액 연봉이나, 승진 등이 아닌 소위 '가늘고 길게 직장생활을 하는 것'이 가장 좋다는 생각이다. 20~30대에 회사에 입사해 60세 정년에 퇴직하는 일종의 평생직장을 바라는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현재 재직 중인 40대 서울시민 10명 중 3명만이 정년까지 일할 것으로 기대한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지난 13일 서울시50플러스재단에 따르면 재단이 서울에 거주하는 만 40∼49세 임금근로자와 비임금근로자 1189명을 대상으로 '현재 일자리 전망'을 조사한 결과 402명(33.8%)은 현재 직장에서 정년까지 일할 수 있을 것으로 자신한다고 응답했다.
정년과 관계없이 원하는 만큼 일할 수 있다는 응답은 69명(5.8%)으로, 둘을 합쳐도 채 40%가 되지 않았다. 403명(33.9%)은 정년까지 일하고 싶지만 오래 다닐 수 있다는 자신이 없다고 답변했다. 현재 직장에서 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기간은 10년 이상이 34.0%로 가장 많았으며, 5년 이상 10년 미만(28.1%), 2년 이상 5년 미만(22.7%), 1년 이상 2년 미만(10.3%), 1년 미만(4.9%) 순이었다.
수도권에 있는 한 기업에서 영업직으로 근무하는 한 40대 후반 직장인은 "평생직장 시대는 이제 없다고 보면 될 것 같다. 사회가 너무 빠르게 바뀌지 않나, 준비를 잘하는 회사원은 오래 다니겠지만, 그렇지 못한 직장인은 자리 지키기가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직장인의 생각 역시 비슷하다. 최근 회사를 이직했다고 밝힌 30대 회사원은 "개인의 커리어 미래를 보고 이직을 결정했다"면서 "내가 하고 싶은 일보다는 오래 할 수 있는 일을 찾는 게, 멀리 봤을 때 좋은 것 같다"고 강조했다.
그렇다면 적당한 정년퇴직 시기는 언제쯤일까, 지난해 7월 벼룩시장이 30대 이상 직장인 879명을 대상으로 정년퇴직 관련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22.5%가 희망 은퇴 시기로 '60~64세'를 꼽았다. '나이와 관계없이 할 수 있는 한 계속 일하고 싶다'는 응답이 17.3%로 가장 많았으며 ▲55~59세(15.0%) ▲65~69세(11.9%) ▲50~54세(11.0%) 순으로 나타났다.
경제적인 부분에 대한 걱정 없이 완전히 은퇴할 수 있는 시기를 묻는 질문에는 '예상하기 어렵다'는 답변이 24.3%로 가장 많았다. 퇴직 후 근로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83.3%가 '계속 일할 것'이라고 답했다.
전문가는 직장인들이 정년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자신의 전문성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석환 HR전략 컨설팅 대표는 "(정년 보장을 위해 해야 할 일은) 자신의 직무 전문성을 기르는 것이다. 전문성이라는 것은 일단 첫 번째, 자기 직무에 대한 업적이나 지식, 경험 등 이런 부분들이 타인에 비해서 출중할 때 인정받을 수 있다. 그럴 때 기업은 그 사람을 필요로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성에 이어 홍 대표는 관계 관리를 꼽았다. 그는 "직장 동료와의 관계 관리 능력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량은 소통 능력이다. 직장 생활은 혼자 할 수 없다. 협력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해 자기 맡은 바 업무 범위에서만 일하면, 관계 관리가 어렵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조직원을 정말 위하고, 진정성 있게 소통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 일종의 평판 관리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전문성을 인정받고, 기업이 요구하는 성과를 내며, 평판도 좋다면 정년을 보장받을 수 있을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한승곤 기자 hsg@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지시 따랐는데…" 尹체포 저지' 동원 병사 처벌·...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