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기차역 승강장에 병원 만드는 日 "지방소멸 해결하는 의료거점으로"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JR동일본, 기차역에 플랫폼 진료소 도입
의료 격차 해결하고 지역 살리는 방안으로 떠올라

저출산과 고령화로 지방 소멸을 겪고 있는 일본이 기차역 플랫폼에 진료소를 두고 지역 의료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열차 노선 인근에 사는 주민이라면 이른바 '플랫폼 진료소'를 쉽게 이용할 수 있어 지방 의료 격차를 메우는 해결책으로 꼽힌다.


14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니케이)은 철도회사 JR동일본 니시코쿠분지역에 위치한 플랫폼 진료소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JR 주오선 상행선 승강장에 위치한 이 진료소는 검사실과 온라인 비대면 진료 전용 부스를 모두 갖춘 '하이브리드 병원'이다.

니시코쿠분지역의 플랫폼 진료소 '아오이 클리닉'.(사진출처=아오이 클리닉 SNS)

니시코쿠분지역의 플랫폼 진료소 '아오이 클리닉'.(사진출처=아오이 클리닉 SNS)

AD
원본보기 아이콘

진료소 내부에는 '대기시간 5분', '꽃가루 알레르기 약 처방도 가능' 등 안내 문구가 곳곳에 적혀 있다. 실내는 검사실 등 일반 병원과 같은 구조를 갖추고 있다. 니케이는 "시내 병원에 온 것 같은 착각에 빠지는데, 기차 브레이크 소리가 울릴 때마다 지금 있는 곳이 역 승강장이라는 것을 깨닫게 한다"고 전했다.


이 진료소는 의료법인 소우세이카이가 운영하고 있다. 방문자만 하루 평균 30~40명에 달한다. 내과의 경우 대면 진료를 하기 때문에 예방 접종 등 다양한 처치가 가능하다. 피부과, 이비인후과, 산부인과는 온라인 부스를 통해 다른 지역의 의사에게 비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다. 소우세이카이 관계자는 "고성능 의료 카메라를 도입해 집에서 온라인으로 비대면 진료를 할 때보다 환자 상태를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고 전했다.


진료소 이용시간은 기차역에 위치한 만큼 출퇴근이나 등교 전, 귀가 시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평일 진료 시간을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까지로 길게 설정했다. 휴일과 공휴일에도 문을 열기 때문에 원래 다니던 병원이 휴진하는 날에도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구와이 타로 소우세이카이 이사장은 "일반 진료소는 반경 2~3㎞ 내에 거주하는 주민 진료에 국한되지만, 역 승장강에 있는 진료소는 이용객을 노선 전체로 확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플랫폼 진료소 '아오이 클리닉'의 내부 모습.(사진출처=아오이 클리닉 SNS)

플랫폼 진료소 '아오이 클리닉'의 내부 모습.(사진출처=아오이 클리닉 SNS)

원본보기 아이콘

철도회사인 JR동일본이 의료 분야로 사업을 확장한 배경에는 코로나19가 영향을 미쳤다. 그간 JR동일본은 쇼핑센터 등 사람이 많이 모이는 상업시설을 주요 역에 배치해 수익을 창출해왔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이용객 자체가 줄면서, 역사 활용방안을 새로 모색하게 된 것이다. 그중 하나가 역 안에 진료소를 두는 방식이었다.


니케이는 "진료소 사업에는 승산이 있어 보인다"며 긍정적인 시각을 내놨다. 일본에서는 지역 간 의료 격차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2021년 일본 국토교통백서에서는 2050년에는 전국 66%의 시정촌(지방자치단체)에서 인구 감소로 병원을 운영하기 어려워질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JR동일본도 지방을 잇는 로컬 선이 2021년도에 이미 679억엔(6169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해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고민해왔다.


JR동일본은 무인역에 비대면 진료소를 만드는 등 이 진료소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JR동일본의 관련 사업 담당자는 "인구 감소 지역에서는 집에서 몇 시간씩 거리의 도시 병원에 다니는 고령자도 많다"며 "초진만이라도 가까운 역에서 간편하게 받고 싶다는 수요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온라인 진료는 저렴한 비용으로 진료소를 마련할 수 있고, 도심 대형병원과 연계하면 이용자는 수준 높은 의료 서비스도 누릴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이는 의료 격차 해소로 이어져 역 주변 도시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 JR동일본의 구상이다.


다만 무인역의 온라인 진료는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자들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 니케이는 "예약 사이트나 원격 진료 장비 조작을 간소화하는 등의 과제가 신사업의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진영 기자 jintonic@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