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너네 부모님 고졸이시잖아"라는 남친…고민이라는 女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결혼 전 고민글 화제

교제 중인 남자친구가 부모의 학력을 이유로 무시하고 있어 고민이라는 한 여성의 글이 3일 화제다.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저희가 집안 차이 많이 나는 결혼 맞나요?'라는 제목의 글이 지난 1일 올라왔다. 롯데면세점에 재직 중인 여성 A 씨는 "남자친구와 저는 대학교 캠퍼스 연인이었고 남친은 LG 계열사에 다닌다"고 밝혔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계 없음[사진출처=게티이미지뱅크]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계 없음[사진출처=게티이미지뱅크]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어 "(남자친구가) 저한테 우리가 집안 차이가 좀 있으니까 이런 발언을 자주 하는데 우리 집이 남친에 비해 많이 떨어지냐"고 물었다.

A 씨에 따르면 남자친구의 아버지는 중견기업 사무직으로 퇴직했고, 어머니는 교사로 퇴직한 대졸자다. 자산은 아파트 3억원, 현금 1억원을 합쳐 4억원 정도지만 어머니에게 나오는 연금이 있어 노후 걱정 없는 수준이다.

반면 A 씨의 부모는 고졸 출신으로 아버지는 대기업 생산직으로 퇴직하고, 어머니는 전업주부다. 자산은 아파트 7억원, 현금 6억원으로 총 13억원 정도다. 다만 연금은 국민연금 100만원이 전부라고 설명했다.


그는 "(남자친구가) 저한테 결혼정보회사에 가면 자산이 전부가 아니다. 부모의 직업, 학력도 중요하다면서 은근슬쩍 후려치는 느낌으로 기분 상하게 말한다"고 말했다. 이어 A 씨는 "친구들은 가스라이팅이라고 한다"며 "객관적인 의견이 궁금하다"고 물었다.



최근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저희가 집안 차이 많이 나는 결혼 맞나요?'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사진출처=블라인드]

최근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저희가 집안 차이 많이 나는 결혼 맞나요?'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사진출처=블라인드]

원본보기 아이콘

이에 직장인들은 "직업 같은 소리 한다. 요즘은 자산 많은 사람이 더 낫다. 여자 쪽이 더 아깝다" "여자가 더 낫다. 현금만 6억원이지 않나" "남자 너무 별로다. 차이가 나지도 않지만 그렇다고 해도 그런 소릴 왜 반복적으로 하냐. 내가 너보다 아깝다는 가스라이팅이냐"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이후 A 씨는 해당 글에 "아버님이 퇴직하고 사업하시다 재산 거의 다 날리셔서 사실 4억도 있는지 모르겠다"며 "아파트는 3억짜리 전세고, 현금 1억 있다는 건 남자친구에게 들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남자친구가 말한 거 그대로 쓴 거라 절대 내려친 것 없다. 어차피 헤어질 결심을 해서 이런 댓글 다는 것도 다 부질없다"고 털어놨다.


고학력자일수록 결혼, 이혼 상대적으로 쉽게 인식

한편 통계청과 업계 등에 따르면, 학력이 낮을수록 '결혼은 반드시 해야 한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결혼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 '반드시 해야 한다'고 답한 비율은 초졸 이하가 29.3%로 가장 높았다. 반면 대졸 이상은 11.4%에 그쳐 가장 낮았다. 중졸(19.5%), 고졸(13.6%)의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는 인식은 대졸 이상보다 높았고, 초졸 이하보다는 낮았다.


다만 결혼을 '하는 것이 좋다'라는 인식의 비율은 학력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았다. 초졸 이하(34.5%), 중졸(34.5%), 고졸(34.2 %), 대졸 이상(35.3%)으로 학력과 관계없이 34~35% 수준을 유지했다.


이혼에 대한 인식도 고학력자일수록 자유로운 인식 경향을 보였다. '어떤 이유라도 이혼해서는 안 된다'는 응답은 대졸 이상이 4.0%로 가장 낮았다. 뒤이어 고졸(5.3%), 중졸(8.0%), 초졸 이하(14.5%) 순으로 높아졌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출처=픽사베이]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출처=픽사베이]

원본보기 아이콘

'이유가 있더라도 가급적 이혼해서는 안 된다'는 응답도 대졸 이상은 18.7%로 가장 낮았다. 뒤이어 고졸(19.9%), 중졸(23.4%), 초졸 이하(29.3%) 순이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