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매출 1000대 기업 중 302개사 조사
기업 80% "올해 고용시장, 코로나 이전 수준 회복"
3대 키워드=수시채용·직무 경험·전문성
기업 65% "청년 일-경험 기회 제공 여건 안 돼"
[아시아경제 문채석 기자] 주요 기업들이 올해 채용시장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할 것으로 보이지만 수시채용과 이공계 쏠림 현상은 더 심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의 주요 고용 정책인 '일-경험 기회 제공'을 추진할 여력이 없다고 답한 기업이 셋 중 두 곳꼴이었다.
22일 대한상공회의소는 국내 매출액 1000대 기업 중 302개사를 조사해 이런 내용의 '2022년 기업의 채용트렌드' 자료를 발표했다. 고용 회복세는 나타나겠지만 수시채용, 이공계 쏠림 현상이 더 심해질 것이란 게 핵심이다.
우선 조사 기업 79.8%가 올해 고용시장 전망에 대해 '고용규모가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69.2%)되거나 '더 늘 것'(10.6%)이라고 답했다. 대졸 신입 채용 시장에 대해선 기업의 80.1%가 '채용 계획을 갖고 있다'고 했다. 71.9%는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겠다고, 20.7%는 늘리겠다고 각각 답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코로나 영향으로 위축됐던 고용시장이 주요 대기업의 채용규모 확대로 개선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면서도 "최근 지정학적 리스크, 공급망 위기 등 경영 불확실성이 증폭되고 있어 극적인 개선은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주목할 점은 수시 채용, 이공계 쏠림 현상이 더 심해질 것이라고 기업들이 내다봤다는 사실이다. 올해 채용경향에 대해 기업의 62.6%가 '대규모 공채보다 수시채용 비중이 확대'를 핵심으로 꼽았다. '이공계 인력 채용 확대'(54.9%), '신입보다 경력직 선호'(52.1%), '비대면 채용전형 도입·지속'(44.7%), '미래산업 분야 인재 채용 증가'(36.6%) 등이 뒤를 이었다. 대졸신입 채용시 가장 중요하게 보는 항목으로는 '직무 관련 경험'(64.9%)을 꼽았다. 이어 '직무 관련 지식'(57.0%), '태도·인성'(53.6%), '관련 자격증'(12.3%) 등 순이었다. '어학능력'(3.6%), '학력·학점'(3.6%) 등의 비중은 크게 낮아졌다. 기업이 바라는 최고의 인재상은 '전문성'(52.6%)과 '소통·협력'(44.7%) 갖춘 인재로 나타났다. '성실함'(26.5%), '열정'(15.6%), '도전정신'(13.6%) 등은 그리 높지 않았다. 송헌재 서울시립대 교수는 "학점과 어학점수가 중요했던 공채가 저물고 직무 중심의 수시채용이 확산되면서 인턴 등 실무 경험이 더욱 중요해졌다"며 "학부 시절 다양한 직무관련 경험과 직무역량을 높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갈수록 직무 역량이 중요해지지만, 정작 채용시장에서 취업준비생이 경험을 쌓을 기회가 늘진 않을 전망이다. 청년들에게 일-경험을 제공하는 역할에 대해 기업의 64.2%가 '취지는 공감하지만 여건이 안 된다'고 답했다. 반면 '사회공헌활동 차원에서 필요'(28.1%)하거나 '기업이 적극 나서야 한다'(7.0%)고 답한 기업은 35.1%에 불과했다. '기업 역할이 아니다'(0.7%)라고 답한 곳도 있었다. 응답 기업의 29.8%만 청년들에게 인턴제 등 일-경험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이 제공하는 일-경험제도는 '채용전환형 인턴제'가 68.9%로 가장 많았다. '체험형 인턴제'(22.2%), '일학습병행제'(11.1%), '대학생 현장실습 프로그램'(10.0%) 등이 뒤를 이었다.
대한상의는 청년 일-경험 기회를 확대하겠다고 한 기업들과 함께 '대학생 일·경험 플랫폼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이는 대학생이 기업의 현장 프로젝트에 직접 참여해 직무역량을 높이고 진로탐색을 할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유일호 대한상의 고용노동정책팀장은 "변화된 채용 트렌드는 저탄소·디지털 전환과 맞물려 가속화될 것"이라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선 노동시장 유연성을 높이고 기업 현장과 교육 현장 간의 미스매치를 좁혀나가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1400만원이 47억 됐다"…젠슨 황 믿고 11년 버틴 ...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