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채금리 장중 1.77%까지 올라
쿠팡 또 6% 상승
테슬라 4%대 반등 성공
이케고스 블록딜 영향은 미미
[아시아경제 뉴욕=백종민 특파원] 미 국채 금리 급등이 또다시 뉴욕 증시의 발목을 잡았다. 하루 앞으로 다가온 1분기 결산과 미국 정부의 인프라 투자 계획 발표를 앞두고 눈치 보기 장세였다는 평가도 나온다.
30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04.41포인트(0.31%) 하락한 3만3066.96에, S&P500지수는 12.54포인트(0.32%) 떨어진 3958.55에, 나스닥 지수는 14.25포인트(0.11%) 밀린 1만3045.39로 장을 마감했다.
개장 전부터 치솟은 미국 국채금리 상승이 증시를 압박했다. 하루 뒤로 예고된 바이든 정부의 인프라 투자 계획, 아케고스 캐피털 사태 확대 여부 등도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미 10년물 국채금리는 이날 오전 1.77%까지 치솟았다. 14개월래 최고였다. 다만 국채금리는 이후 상승 폭을 반납하고 1.71% 수준으로 내려왔지만, 주요 지수는 금리 상승 압박감을 덜어내지 못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하루 뒤 피츠버그에서 인프라 투자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시장에서는 3조~4조달러 규모의 계획을 예상 중이다.
하루 전 백악관이 다음 달 19일까지 성인 90%에 대해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확대하겠다는 방침도 경기회복을 앞당겨 인플레를 가속할 수 있다는 경계감도 국채 가격을 끌어올렸다는 평가다.
국채 금리 상승은 미국 달러화 가치도 끌어올렸다. 이날 달러지수는 0.3% 상승한 93.3을 기록하며 4개월 사이 최고치로 치솟았다. 달러 강세의 영향으로 금은 28.30달러(1.7%) 하락한 1683.90달러를 기록했다.
국채 금리 상승에도 기술주의 주가는 엇갈렸다.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의 주가가 각각 1% 이상 하락했지만, 테슬라의 주가는 4% 반등에 성공했다.
쿠팡은 전날에 이어 이날도 6.2% 상승한 48달러에 거래되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날 아케고스 캐피털 발 블록딜(대량 매매) 거래 우려는 시장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골드만삭스 등 일찌감치 블록딜에 나선 은행들의 주가는 상승 반전했다. 반면 크레디스위스와 노무라 주가는 전날 폭락에 이어 이날도 상당폭 하락했다.
이날 노무라와 크레디스위스에 일본의 미쓰비시UFJ파이낸셜그룹도 미국 고객으로 인한 3억 달러가량의 손실 가능성을 경고했다. 이 역시 아케고스 관련 피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국제 유가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주요 산유국 모임인 OPEC+ 회의를 앞두고 하락했다.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1.01달러(1.6%) 하락한 배럴당 60.55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뉴욕=백종민 특파원 cinqang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영업익115% 상승 '역대급 실적' 해외서 더 주목…2...
마스크영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폴폴뉴스]내년 지방선거 與 다수 당선 42% vs 野 다수 당선 35%](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060310010784525_1748912467.jpg)
![[단독]'농협카드 정보유출' 10년 만에 마침표…KCB, 농협銀에 283억 배상](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011560425382_1763607364.jpg)



![[시시비비] 챗GPT 먹통 사태의 정치적 교훈](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111185550597A.jpg)
![[기자수첩]생산적 금융 시험대 된 IMA…관건은](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110354821520A.jpg)
![[초동시각]의사들이 '지역에 남을 이유'](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010430646661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