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가 단순한 칼슘 보충 음료를 넘어 심혈관 건강과 대사질환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진은 "우유는 더 이상 단순한 음료가 아니라, 장기적 건강을 지탱하는 '건강 전략 식품'으로 인식해야 한다"며 "적정량을 꾸준히 섭취하는 습관이 전반적인 건강 유지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혈압·혈당 안정화…심혈관·대사질환 위험 낮춰"
독일 뮌헨공과대학교 인체영양학연구소 삭시아 아킬 박사 연구팀은 최근 국제 학술지 '유럽임상영양학회지'를 통해 "전 세계에서 수행된 100여 건의 연구 논문을 종합 분석한 결과, 하루 200~300㎖(약 한 컵에서 한 컵 반)의 우유를 꾸준히 섭취하면 심혈관질환 발병 위험이 10~1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연구 결과, 우유를 즐겨 마시는 사람들은 당뇨병 발병률도 낮은 경향을 보였다. 연구팀은 그 이유로 우유 속 칼슘·칼륨·비타민 B12·유청 단백질 등의 복합 작용을 꼽았다. 이들 영양소가 혈압 조절과 인슐린 감수성 개선, 염증 반응 완화에 도움을 준다는 설명이다. 특히 칼륨은 나트륨 배출을 촉진해 혈압을 낮추고, 유청 단백질은 혈관 염증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성장기부터 노년기까지…평생 뼈 건강 지탱"
우유의 효능은 뼈 건강에서 특히 두드러졌다. 연구팀은 청소년기 우유 섭취가 평생 뼈 질량을 결정짓는 핵심 요인이라고 강조했다. 성장기 충분한 칼슘과 단백질 공급은 골밀도를 높이고, 성인 이후 골절과 골다공증 위험을 낮춘다.
또한 중장년층에서는 흡수율이 높은 형태의 칼슘이 근감소증 예방에도 도움을 준다. 이 때문에 유럽 일부 국가는 '하루 한 컵 우유' 캠페인을 공공보건 정책 차원에서 장려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서구화된 식단 속에서 균형 잡힌 유제품 섭취가 국민 건강 증진의 핵심 전략이 될 수 있다고 평가한다.
"하루 1~2컵, 저지방·무가당 제품으로 균형 있게"
전문가들은 우유의 건강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적정량·적절한 형태의 섭취를 강조한다.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