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뜩 기대에 부푼 해외여행에서 만난 현지인의 불친절로 기분이 상한 경험 한 번쯤 있으시죠?

여행의 '숨은 변수'는 현지인의 태도였습니다.
미국 야후는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공유된 여행자들의 후기를 바탕으로 '가장 불친절했던 나라' 순위를 발표했습니다.
ㅡ
5위는 튀르키예(터키)
한 여행객은 이스탄불 공항에서 차 한 잔을 주문했지만 돌아오는 건 '묵묵부답의 표정'이었다는 후기를 남겼습니다.
"터키는 이런 불친절 논의에서 빠지지 않는다"는 댓글도 있었습니다.
ㅡ
4위 중국
특히 베이징은 무뚝뚝하고 참을성 없는 태도가 자주 언급됐습니다.
한 여행자는 "오히려 그런 모습이 재미있어 볼거리 포인트"라고 대수롭지 않게 여겼지만, 대다수는 문화 충격으로 힘들었다고 호소했습니다.
ㅡ
3위 러시아
"길에서 미소 짓는 것은 수상하게 보인다"는 말처럼 차가운 인상 때문에 불친절하다는 평을 받았습니다.
다만 실제로 현지에 오래 산 사람은 "대화를 나누면 따뜻하다"고 반박하기도 했다. 냉정한 인상이 전부는 아니라는 의미입니다.
ㅡ
2위 모로코
아이에게 신체 접촉을 당하거나 버스에 돌을 맞았다는 사례가 공유됐습니다.
집요한 호객행위도 불편하다는 반응이 많았습니다. 많은 여행객이 "다시 가고 싶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ㅡ
1위 프랑스
"절대 가지 마라" 후기 속출
압도적 1위는 프랑스였습니다.
특히 파리에서는 영어로 말하면 무시당하거나, 프랑스어 발음만 고쳐주고 길은 알려주지 않는 경험담이 속출했습니다.
서비스 직원의 고성과 무례까지 언급되며 '불친절의 대표 국가'로 꼽혔습니다.
국내 커뮤니티에서도 "1시간 넘게 메뉴판도 안 가져다주더라. 결국 그냥 나왔다" "주문 안 받아주는 건 기본" "프랑스 여행은 돈 내고 기분만 나쁘다" "파리는 절대 가지 마라" 등의 후기가 이어졌습니다.

"친절도, 관광 만족도·국가 브랜드 직결"
전문가들은 "친절도는 관광 만족도를 넘어 국가 브랜드와 직결된다"고 입을 모읍니다.
여행자 입장에서는 작은 환대가 체류 만족도를 높이고 재방문으로 이어집니다.
반대로 불친절은 관광산업 전반의 신뢰도와 수익성을 떨어뜨리는 만큼 주의가 요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