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휴양지서 한국인 찾는 법?"…'이것' 입은 사람 찾아라

해외 SNS서 '래시가드=한국인' 공식화

세계 각국의 휴양지에서 한국인들이 래시가드를 입고 즐기는 현상이 보편화되자 '한국인=래시가드'라는 독특한 공식이 세워지고 있다.


게티이미지

게티이미지

원본보기 아이콘


13일 쇼핑 플랫폼 '지그재그'를 운영하는 카카오스타일은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10일까지 2주간 '래시가드' 검색량이 전년 동기 대비 40%, 매출은 35% 증가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여성용 비키니 매출이 5%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두드러지는 수치다. 네이버 '비치웨어' 검색 순위에서도 래시가드는 1위부터 10위까지를 휩쓸었다.


한국인, 자외선 차단 기능 있어 래시가드 선호

한국인이 래시가드를 선호하는 이유로는 우선 자외선 차단 기능이 꼽힌다. 태닝을 즐기는 서구 문화와 달리 흰 피부를 선호하는 한국인의 미적 기준에 잘 맞기 때문이다. 실내외 어디서든 티셔츠처럼 편하게 입을 수 있다는 점도 장점으로 평가된다.


한국인이 래시가드를 선호하는 이유로는 우선 자외선 차단 기능이 꼽힌다. 태닝을 즐기는 서구 문화와 달리, 흰 피부를 선호하는 한국인의 미적 기준에 잘 맞기 때문이다.
한국인이 래시가드를 선호하는 이유로는 우선 자외선 차단 기능이 꼽힌다. 태닝을 즐기는 서구 문화와 달리, 흰 피부를 선호하는 한국인의 미적 기준에 잘 맞기 때문이다.
또한, 타인의 시선을 많이 의식하는 한국인의 집단 심리가 반영된 결과라는 분석도 있다.
'타인 시선 의식' 해석…"편해서" 반론도

또한 타인의 시선을 많이 의식하는 한국인의 집단 심리가 반영된 결과라는 분석도 있다. 이은희 인하대학교 소비자학과 명예교수는 "노출이 있는 수영복을 입고 남들의 시선을 받을 경우 심리적으로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쇼핑몰 구매 후기에서도 "몸매를 잘 가려줘서 좋다"는 반응이 적지 않다. 반대로 래시가드 유행이 남의 시선을 덜 의식하는 사회 분위기를 반영한다는 해석도 있다.


레딧(Reddit)이나 쿼라(Quora) 등 해외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왜 한국 사람들은 옷을 입고 수영하느냐"라는 질문이 꾸준히 올라오고 있다. 그 결과 '한국인=래시가드'라는 이미지가 형성되고 있다. 서구권에서는 래시가드가 주로 서퍼나 해양 스포츠 애호가들의 복장으로 인식된다는 점에서 대조된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