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집고양이(학명 Felis catus)의 기원이 신석기 시대 농경민과 함께 유럽으로 들어왔다는 통념과 달리, 그보다 수천 년이 지난 서기 1세기 무렵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으로 옮겨왔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탈리아 로마 토르베르가타대 클라우디오 오토니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28일 과학 저널 사이언스에 "유럽·아나톨리아(현 튀르키예) 유적에서 나온 1만 1000년 전 고양이 등 고대 고양이 70마리와 이탈리아·북아프리카 등에서 확보한 현대 야생 고양이 17마리의 게놈(유전체)을 분석해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초기 집고양이의 기원과 확산 경로에 대해서는 여전히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고고학적 유물이 부족한데다 고대 골격만으로는 야생 고양이와 길들여진 집고양이를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 결과, 집고양이는 지중해 동부 레반트 지역이 아니라 북아프리카에 서식하던 북아프리카 들고양이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 또 진정한 의미의 집고양이는 신석기 이후 수천 년이 지난 다음에야 유럽과 서남아시아에 처음 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고양이는 유럽에 유입된 뒤 로마 군사 경로를 따라 빠르게 유럽 전역으로 확산했으며, 서기 1세기께 영국에도 도달했다.
연구팀은 "유럽과 튀르키예에서 발견된 더 이른 시기의 고양이들은 유전적으로 (집고양이가 아닌) 유럽 들고양이(학명 Felis silvestris)였다"며 "집고양이 길들이기가 있었던 게 아니라 고대 야생 고양이들의 교잡을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이번 연구는 집고양이 발상지가 북아프리카임을 밝혀내고, 이들이 신석기 시대에 유럽에 유입됐다는 기존 견해를 뒤집어 그 시기를 수천 년 뒤로 늦췄다"며 "가장 수수께끼 같은 반려동물인 고양이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준다"고 밝혔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