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러시아어를 학교 필수 과목으로 지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는 27일(현지시간) 타스 통신을 인용해 "러시아·북한 간 무역경제 및 과학기술협력위원회 공동위원장인 알렉산드르 코즐로프 천연자원부 장관은 이날 모스크바에서 열린 위원회 회의에서 '북한 학교에서 러시아어가 4학년부터 필수 언어 과목으로 도입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북한의 조선중앙통신은 전승절 80주년 열병식에 참석하기 위해 지난 9월 중국을 방문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회담을 가졌다고 보도했다.
코즐로프 장관은 "러시아에서는 올해 기준 3000명 이상의 학생이 한국어 수업을 받고 있다. 대부분 한국어 수업을 제2 또는 제3 외국어로 배운다"라고도 말했다. 다만 그가 언급한 한국어가 북한식 '문화어'를 지칭한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그는 또 "북한에서 오는 2026년 김철주 사범대학을 기반으로 러시아어 교육센터가 개소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현재 건물이 지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북한 학생 96명이 러시아 대학에 입학했다"며 "그들은 주로 극동연방대, 모스크바국제관계대, 러시아인민우호대를 선택했다"고 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군사적으로 밀착하고 있는 북한과 러시아는 최근 문화적으로도 교류를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한 데 이어 북한이 약 1만 2000명 규모의 병력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선에 파견했다.
지난 7월에는 모스크바와 평양 사이 정기 직항편 운항이 시작됐다. 또 지난해 하산~두만강 노선의 철도 운행이 재개됐으며, 지난 5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나선까지 전세 관광열차가 운행되기 시작했다. 평양~블라디보스토크 항공편도 운항하고 있으며, 두만강에는 북러 간 육로를 잇는 자동차 다리가 2년 안에 완공될 예정이다.
지난 6일 러시아 연방보안국(FSB)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북한으로 들어온 러시아인은 3460명으로 집계됐다. 북한 전문 매체 NK뉴스는 "러시아 관광객이 증가한 것은 지난 7월 모스크바와 평양 간 직항편이 재개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