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조원 개발' 용산국제업무지구, 첫삽…글로벌 비즈니스 허브 도약

46만㎡ 부지에 100층 랜드마크
2030년 글로벌 헤드쿼터 입주 전망
일대 주택공급 물량 확대 검토

단군 이래 최대 개발 사업으로 손꼽히는 용산국제업무지구가 첫 삽을 뜬다. 12년간 개발이 멈춰 섰던 46만㎡ 규모 부지는 100층 높이 랜드마크와 직주락이 결합한 글로벌 비즈니스 거점으로 거듭난다. 서울시는 이르면 2027년 분양을 목표로, 국토교통부와 일대 주택 공급 규모를 확대하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서울시는 27일 오후 2시 용산구 한강로3가 40-1일대에서 용산국제업무지구의 개발 시작을 알리는 기공식을 개최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27일 서울 용산국제업무지구 기공식에서 정정래 한국철도공사 사장직무대행, 국민의힘 권영세 의원 등 참석자들과 기념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27일 서울 용산국제업무지구 기공식에서 정정래 한국철도공사 사장직무대행, 국민의힘 권영세 의원 등 참석자들과 기념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날 현장에 참석한 오세훈 서울시장은 "용산은 한때 도시개발의 가장 원대한 꿈을 품었던 곳이지만 2013년 사업 무산 이후 10년 동안 멈춰서야 했다"며 "오늘의 첫 삽은 좌절을 딛고 일어선 서울의 의지이자 인내의 결실"이라고 자평했다.

이어 시와 사업 시행자인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사업 소요 기간을 대폭 줄이는 성과를 냈다고 평가했다. 오 시장은 "지난 2월 개발계획을 발표한 후 서울시는 행정 절차와 협업 체계를 전면 재정비 했다"며 "그 결과 타 도시개발사업에서 진행되는 평균 기간 대비 20개월가량 앞당기는 성과를 낼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사업비 총 51조원 …2030년 글로벌 헤드쿼터 입주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은 한국철도공사가 72% 보유한 철도정비창 부지 45만6000㎡에 업무와 주거, 문화기능을 합친 입체 복합수직도시를 건설하는 프로젝트다. 주거와 업무, 교육 등 다양한 시설을 걸어서 이동할 수 있는 콤팩트시티를 구현을 목표로 했다.


각 필지는 크게 국제업무존과, 업무복합존, 업무지원존 등 3개 구역으로 나눠 개발될 예정이다. 국제업무존은 최대 용적률 1700%를 적용받아 높이 100층 내외의 랜드마크가 들어선다. 업무복합존에는 오피스와 리테일 시설, 첨단 물류 시설 등이 입주하며 업무지원존에는 주거와 의료 교육시설이 조성된다. 도로 등 부지 조성공사를 2028년까지 완료하고 2030년부터 글로벌 기업의 헤드쿼터와 주민 입주가 시작되도록 할 계획이다.


사업비는 총 51조원이다. 코레일과 SH가 공동 사업 시행자를 맡아 부지를 조성하고 민간 사업자에 분양해 이들이 개별 필지를 개발하는 방식으로 사업 리스크를 최소화했다. 과거 사업 시행을 맡은 민간 프로젝트금융회사(PFV)가 부도를 맞은 뒤 2013년 도시개발구역 지정 해제가 이뤄지면서 12년간 사업이 표류한 전례가 있어서다.

일대 주택 공급 확대 검토…여권 2만가구 공급 제안 선 그어

이와 함께 향후 이 일대는 서울 도심 내 주택공급의 핵심축으로 기능한다. 시는 오는 2027년 분양을 목표로 국제업무지구 내 주택 공급 물량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앞서 지난 11월 발표한 1만3000가구(지구 내 6000가구, 주변 7000가구)에 더해 추가 확대 가능한 규모를 살펴보겠다는 계획이다.

다만 최근 여권 일각에서 거론된 2만가구 공급보다는 적은 물량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이소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달 1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아파트 2만가구를 추가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해달라고 제안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27일 서울 용산국제업무지구 기공식에서 비전선포 및 기념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27일 서울 용산국제업무지구 기공식에서 비전선포 및 기념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러나 서울시는 기존 개발계획에서 수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국토부 및 관계기관과 논의를 진행하겠다는 입장이다. 개발계획을 전면 재수립할 경우 사전 행정절차 이행으로 사업이 지연될 것을 우려해서다. 오 시장은 지난 3일 용산정비창을 활용한 주택공급 확대 방안에 대해 "원안대로 진행할 수밖에 없다"며 "무엇보다 현 상황에서 용산정비창 개발사업 계획안을 추가 주택 공급을 위해 바꾼다면 개발 계획 재수립, 기반시설 계획 수정 등 2년 이상 사업이 지연될 수밖에 없다"고 선을 그었다.


서울시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확대 물량에 관해 결정된 바는 없다"면서도 "기존 개발계획에서 수용할 수 있는 범위에서 관계기관과 내부적으로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일대 2만 가구 공급은 일부 여권에서 나온 요구사항이기에 정부와 서울시가 주택공급 확대를 두고 이견차를 보인다는 건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이지은 기자 jelee042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