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인공지능(AI) 기술이 미국 노동력의 11.7%를 대체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다는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연구진의 분석이 나왔다. 연구진은 기술 분야뿐 아니라 인사·물류·재무 등 다양한 직군에서 AI 활용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으며, 도시·비도시를 가리지 않고 노동시장 전반에 구조적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로이터연합뉴스
26일(현지시간) 미 경제매체 CNBC에 따르면 MIT와 미 에너지부 산하 오크리지국립연구소(ORNL) 공동 연구진은 현재 도입된 AI 기술이 미국 노동시장의 11.7%를 대체할 수준에 도달했다는 연구 결과를 이날 발표했다.
연구진은 미국 노동시장에 대한 AI 기술의 영향을 측정하는 '빙산 지수(Iceberg Index)'를 개발했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빙산 지수를 통해 1억5000만 명이 넘는 노동력과 수천 개의 AI 에이전트가 함께 움직이는 '혼합 사회'를 구현했다"며 "AI가 가진 능력이 인간의 기술에 어떤 파급효과를 만들어내는지, 각 기술과 지역 사회가 AI에 얼마나 노출되는지 등을 측정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우리는 AI를 '똑똑하게 만드는데' 많은 시간을 들여왔으나, 이제 중요한 것은 AI가 상호작용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지 예측하는 것이다. 빙산 지수는 이 새로운 영역을 탐구한다"고 덧붙였다.
분석 결과 컴퓨팅이나 기술 분야에 집중된 '눈에 보이는' AI 도입 기술은 전체 임금 가치의 2.2%(약 2110억달러)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됐으나 이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고 연구진은 평가했다. 특히 연구진은 인사관리(HR), 물류, 재무, 일반 사무 등에 걸쳐 적용될 수 있는 AI 기술의 가치는 미 노동인구 총임금의 11.7%(약 1조2000억달러)에 달한다고 추정했는데, 이 같은 업무 영역은 시뮬레이션 예측이 짚어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영향은 도시 지역에 한정되지 않고 비도시 지역을 포함한 미국 50개 주(州) 전체에 광범위하게 확산해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연구진은 "국내총생산(GDP)이나 소득, 실업률과 같은 지표는 기술 기반 변동의 5% 미만을 설명한다"며 AI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포착하기 위해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존 경제 지표만으로는 AI가 일자리 구조와 업무수행 방식에 미치는 변화가 온전히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영향까지 파악할 수 있는 별도의 분석 틀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빙산 지수'가 일자리 소멸의 시기나 장소를 정확히 짚어내는 도구는 아니라고 했다. 대신 이 지수는 현재의 AI 시스템이 어떤 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스냅숏'이며, 정책 결정자들이 실제 예산을 투입하고 법을 만들기 전에 여러 가정을 체계적으로 검토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를 통해 "기업 경영진이 어떤 분야가 AI 영향에 특히 취약한지를 파악하고, 필요한 훈련·인력 재교육 및 인프라 투자 분야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