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매각 또 불발…내년 중순까지 밀릴수도

회생절차 최장 1년6개월 연기 가능…장기전 전망
정부·채권단 중심 구조조정 가능성…속타는 메리츠
알짜만 팔고 나머지 청산하는 시나리오도

서울시내 한 홈플러스 매장 앞. 연합뉴스

서울시내 한 홈플러스 매장 앞. 연합뉴스

홈플러스 인수에 아무도 도전장을 내지 않으면서 매각 본입찰이 유찰됐다. 홈플러스의 성장 여력이 낮고 지나친 여론의 관심까지 부담이 된 것으로 보인다. 결국 홈플러스 회생절차는 내년 중순 이후까지 이어지는 장기전이 될 전망이다.


회생절차 최장 1년 6개월 연기 가능…장기전 전망

2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전날 오후 3시에 마감된 홈플러스 인수 본입찰에 입찰제안서를 아무도 제출하지 않았다. 매각주관사인 삼일회계법인과 매각 측은 서울회생법원, 채권자협의회 등과 협의해 다시 매각을 추진할 계획이다. 입찰 방식도 이번처럼 공개입찰이 아닌 비공개입찰로 전환할 것으로 전해졌다.

매각은 장기전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홈플러스 측은 입장문을 통해 2차 매각 잠정 시한은 회생계획안 제출일인 12월29일까지로 잡았다. 하지만 원매자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홈플러스 측은 회생절차를 연기 요청할 수 있다. 현행법상 회생절차는 최장 1년6개월까지 진행 가능하다. 홈플러스가 회생절차를 개시한 시기가 지난 3월4일인 점을 감안하면, 내년 9월까지도 매각이 미뤄질 수 있는 셈이다.


현재 홈플러스 상황으로는 매각 성사 가능성이 지극히 낮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미 지난해까지 4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해에는 영업손실만 3141억원으로 미납 세금도 900억원대에 이른다. 회생채권 규모 2조6691억원 이상 금액에 매각되더라도 사업 정상화에 막대한 비용이 필요할 수 있다.


IB업계 관계자는 "법원에서도 청산가치가 계속가치보다 높다는 점을 받아들인 만큼 아무리 정치권에서 압박을 가한다고 하더라도 대기업이나 금융지주사에서 떠안기는 쉽지 않다"며 "MBK파트너스로서는 장기전에 돌입해 여론이 잠잠해질 시기를 기다리면서 홈플러스의 구조조정 등을 진행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정부·채권단 중심 구조조정 VS 부분매각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지난달 14일 국회에서 열린 공정거래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에 대한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왼쪽은 김광일 홈플러스 대표이사. 2025.10.14 김현민 기자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지난달 14일 국회에서 열린 공정거래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에 대한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왼쪽은 김광일 홈플러스 대표이사. 2025.10.14 김현민 기자

향후 두 개의 시나리오로가 거론된다. 우선 정부와 채권단 중심의 구조조정이다. 기존 MBK 지분을 소각하고, 금융채권을 일부 탕감한 뒤 지분으로 전환하는 구조다. 채권단과 새로운 전략적투자자(SI) 또는 KDB산업은행과 같은 정책금융이 최대주주가 되는 식이다. 이미 코로나19 당시 파산한 미국 고급백화점 체인기업 니만마커스도 이같은 방식을 통해 구조조정을 진행한 바 있다.


이 경우 정부와 채권단이 구조조정의 부담을 지면서 MBK는 여론의 중심에서 벗어날 수 있다. 정부가 끼어드는 만큼 전면 폐점, 대량해고보다는 점진적 구조조정으로 갈 가능성이 크다. 홈플러스 구성원 입장에서도 상대할 주체가 정부가 되면서 협상력이 높아질 여지가 크다.


다만 채권단, 특히 메리츠금융그룹의 고민이 커질 수 있다. 메리츠금융(증권·화재·캐피탈)은 지난해 5월 홈플러스에 약 1조2166억원을 대출했고, 지난 5월까지 원금과 이자를 포함해 2561억원을 회수했다. 아직 받을 돈이 1조원가량 남은 상황에서 주주까지 된다면 일부 투자금 손실과 장기간 돈이 묶이는 리스크를 동시에 지게 된다.


회사를 통째로 살리기보다는 쓸만한 자산만 떼어 파는 부분매각도 충분히 고려되는 방편이다. 알짜 부동산이나 점포, 온라인 사업 등을 따로 시장에 매물로 내놓고, 수익성 낮은 점포는 아예 문을 닫거나 상가형으로 바꾸는 한편 남은 사업부나 법인은 청산하는 '점진적 해체' 시나리오다. 이미 지난해 MBK는 홈플러스의 기업형슈퍼마켓(SSM) 사업부문인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매각을 추진한 바 있다.


이 방법은 통매각보다 원매자나 투자자들을 유치하기 수월해지는 반면, 홈플러스 구성원 입장에서는 고통이 가장 클 수 있다. 점포 폐점, 직원 대량 해고가 현실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대형마트 2위 기업이 통째로 해체된다는 메시지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노동계 모두에게 정치적 부담이 될 수 있다.


한 회생 전문 회계사는 "채권단과 정부, 구성원이 얼마나 빨리 중간지점을 찾는지가 관건"이라며 "내년 6월 지방선거까지 앞둔 만큼 정치적 셈법도 상당히 고려될 수 있어 장기전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