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 4차 발사가 성공을 거두면서 국내 독자 기술로 구축된 발사대 시스템의 경쟁력이 다시 한번 입증됐다. HD현대중공업 이 설계부터 제작·운영까지 100% 국산 기술로 완성한 발사대 시스템을 총괄하며 우리나라가 자체 발사 인프라를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다.
HD현대중공업이 27일 새벽 진행된 누리호(KSLV-Ⅱ) 4차 발사에서 발사대 시스템을 총괄 운용했다고 밝혔다. 누리호 1~3차에 이어 네 번째 발사까지 안정적으로 지원했다. HD현대중공업은 2020년 완공된 제2발사대(지하 3층, 연면적 약 6000㎡) 기반시설 공사를 맡았다. 지상기계설비(MGSE), 추진제공급설비(FGSE), 발사관제설비(EGSE) 등 발사대 시스템 전 분야를 독자 기술로 설계·제작·설치했다.
27일 새벽 HD현대중공업이 구축한 발사대에서 발사 준비를 마친 누리호. HD현대중공업
HD현대중공업은 발사 전 점검과 기능 테스트, 발사 순간까지 전 과정을 책임졌다. 특히 누리호 발사대 시스템의 국산화율을 100%까지 완성해, 우리나라가 외국 기술 의존 없이 우주 발사 인프라를 자체 구축·운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HD현대중공업 우주 발사 인프라 기술력은 2007년 나로호 발사대 구축 사업부터 시작됐다. 이후 누리호 1~4차 발사 모든 과정에 참여하며 발사대 설계·제작·운영 역량을 축적해 왔다. HD현대중공업은 이 기술 자산이 향후 차세대 발사체 사업과 국내 우주산업 생태계 확장의 기반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HD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이번 4차 발사 성공은 국내 독자 기술로 구축한 발사대 시스템의 안정성이 다시 한번 확인된 의미 있는 성과"라며 "누리호 5·6차 발사 운용은 물론, 차세대 발사체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해 대한민국 우주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