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천 삼강나루 주막, 국가민속문화유산 됐다

1900년부터 100년 넘게 운영
1934년 대홍수에도 원형 보존

'예천 삼강나루 주막' 전경

'예천 삼강나루 주막' 전경


국가유산청은 경북 예천군 풍양면에 있는 '예천 삼강나루 주막'을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주막은 낙동강, 금천, 내성천이 합수되는 곳에 있는 나루터를 배경으로 1900년경부터 2005년까지 100년 이상 운영됐다.

형태는 정면 두 칸, 측면 두 칸 규모의 초가집이다. 주막 주인이 거처하는 주모방과 손님을 위한 방이 한 칸씩 있다. 뒤쪽에는 부엌 한 칸과 마루 한 칸이 있다. 갑술년(1934년) 대홍수에도 소실되지 않아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주모방에서 드나드는 부엌 위쪽 다락에는 성주단지가 놓여 있다. 홍수나 화재를 막고 주막의 무탈을 기원하는 것으로, 가신신앙의 일면을 보여준다.


부엌 내부 흙벽에는 외상 내역을 표시하려고 그어둔 작대기 선이 남아 있다. 주막 문화유산 가운데서도 희소성이 큰 자료로 평가받는다.

흙벽 외상 장부

흙벽 외상 장부


나루에서 마을로 이어지는 입구에는 주막이 자리하고, 제방에는 동제가 치러지던 동신목과 남근석이 남아 있다. 지난 130년간 이어온 동제의 역사를 기록한 '동신계책'도 보존돼 있다. 앞서 국가유산청은 삼강나루의 '강신'과 삼강주막의 '주막수호신'에게 소지를 올린 것을 확인했다.


이곳에는 마을에서 '삼강도선계'를 결성해 운영한 문서도 남아 있다. 나루와 주막의 역사, 민속을 총체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


국가유산청은 체계적인 보존·관리를 통해 이 주막이 역사문화관광자원으로 활용되도록 지자체와 협력할 계획이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