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미술관은 한국 현대 도예의 선구자 신상호의 회고전 '신상호: 무한변주'를 내년 3월29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에서 개최한다고 26일 밝혔다.
회고전 '신상호: 무한변주' 전시 내부 전경.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이번 전시는 60여년간, 한국 현대사의 흐름 속에 사회와 미술의 변화에 호응하며 흙을 매체로 독자적인 예술 세계를 구축해온 작가의 조각적·회화적 창작 여정을 조명하면서 한국 현대 도예의 확장된 범주를 소개한다. 도자 90여 점과 아카이브 70여 점을 전시한다.
전시 제목 '신상호: 무한변주'는 한국 도자의 전통적인 형식과 의미를 해체하는 동시에 새로운 질서를 세워온 작가의 끊임없는 여정을 상징한다.
1부 '흙, 물질에서 서사로'에서는 1960~1990년대 신상호의 전통 도자 세계를 조명한다. 신상호는 1965년 홍익대학교 공예학부에 입학한 해, 경기도 이천의 가마를 인수해 전통 도자기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국내 최초로 가스가마를 도입하고 정교한 디자인의 생활 식기 제작과 화가들과의 협업 활동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통의 현대화'를 도모했다. 1973년 국내 첫 개인전을 계기로 선보인 '아(我)' 연작(1973~1980년대) 등 작가 초기 정체성이 담긴 작품을 살펴볼 수 있다.
회고전 '신상호: 무한변주' 전시 내부 전경.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2부 '도조의 시대'에서는 1986년부터 선보인 신상호의 도자 조각, 도조(陶彫)를 선보인다. 1984년 미국 센트럴 코네티컷 주립대학 교환교수 시절, 미국의 추상표현주의 도자를 경험한 신상호는 조각과 회화적 요소가 결합된 예술의 조형성을 추구하며 '꿈' 연작(1990~1995)을 발표했다. 그는 한국 도예의 국제화를 위해 88 서울올림픽 문화행사의 일환으로 자신의 작업장인 부곡도방에서 '국제도예워크숍'을 운영하기도 했다. 이후 1995년 영국에서 아프리카미술 전시를 경험하고 타문화의 원시성에 매료돼 흙의 원초적 생명력과 구조적 힘을 형상화 한 '아프리카의 꿈' 연작(2000~)을 제작하며 형태적 언어를 확립했다.
3부 '불의 회화'에서는 2001년 이후 선보인 신상호의 건축 도자의 실험성을 600여 장의 도자 타일과 건축 아카이브를 통해 조명한다. 그는 도자와 건축의 결합을 실험하며 도자 타일로 대형 외벽 프로젝트를 추진해 왔다. 서울 센트럴시티 고속터미널의 '밀레니엄 타이드'를 시작으로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금호아시아나 사옥(현 콘코디언 빌딩), 서초 삼성타운 등의 외벽에 '구운 그림' 도자 타일을 설치했다. '구운 그림'은 흙 위에서 소성된 독특한 질감과 색채를 캔버스의 물감 표현과 구분하기 위해 붙인 명칭이다. 50×50cm 크기의 도자 타일은 벽면의 표면을 감싸면서도 분리와 재설치가 가능한 유연한 탈착 체계로 설계됐다.
회고전 '신상호: 무한변주' 전시 내부 전경.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이 외에 4부 '사물과의 대화'에서는 1990년대부터 시작된 타문화의 옛 물건의 수집과 이를 통한 창작활동을 소개하고, 5부 '흙의 끝, 흙의 시작'에서는 2017년부터 흙판을 금속 패널에 부착하고 다채로운 색을 입히는 도자 회화를 조명한다.
이번 전시는 연계 교육프로그램인 '흙에서 태어난 상상동물'도 마련돼 있다. 작가의 대표작 '아프리카의 꿈'을 모티브로 참여자들이 상상의 동물을 직접 도자 조각으로 창작해 볼 수 있다.
김성희 국립현대미술관장은 "한국 현대 도예의 역사를 이끌어 간 신상호 작가의 전작을 다룬 이번 전시는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리는 역대 최대 규모의 도자 작가 개인전"이라며 "신상호의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통해 흙이라는 물질의 무한한 가능성과 함께 한국 현대 도예에 대한 시각이 확장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