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마 했는데 진짜…"테슬라 크게 제쳤다" 손익분기점 넘은 로보택시 업체

CNBC "로보택시, 중국이 미국 크게 앞서"
바이두, '아폴로 고' 1000대 이상 운영돼
손익분기점 넘어…'시험 운영' 美와 대조

전 세계 로보택시(완전 자율주행 택시) 분야에서 중국이 미국을 크게 앞서가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23일(현지시간) 미국 경제매체 CNBC는 "로보택시 업계의 리더는 테슬라가 아니라 바이두"라고 보도했다.


지난 6월 중국 후베이성 중부 우한에서 열린 도로 테스트 중 바이두의 아폴로 고 자율주행차의 모습. 연합뉴스

지난 6월 중국 후베이성 중부 우한에서 열린 도로 테스트 중 바이두의 아폴로 고 자율주행차의 모습. 연합뉴스



앞서 로빈 리 바이두 최고경영자(CEO)는 지난주 실적 발표에서 "로보택시가 손익분기점에 도달했다"며 "로보택시 산업이 변곡점에 도달했다"고 선언했다. 바이두는 현재 중국 내 11개 도시에 '아폴로 고'라는 이름의 로보택시를 1000대 이상 운영하고 있다. 또 두바이를 비롯한 중동 등 해외 진출을 시도하고 있다.

CNBC에 따르면 이 밖에도 포니 AI, 위라드 등 중국 자율주행 업체들은 차량 공유업체 우버와 협력해 해외 시장 개척에 매진하고 있다.


반면 미국에서 가장 앞서가는 자율주행 업체인 구글의 자회사 웨이모는 현재 2500대 이상의 로보택시를 미국 전역에서 시험 운영하고 있다. 다만 아직 유료 운행은 하지 못하고 있으며, 내년부터 유료 운행에 들어간다. 중국 바이두가 이미 유료 영업을 실시해 손익분기점을 넘어선 것과 대조적인 상황이다.


지난 6월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테슬라 로보택시가 도로를 달리고 있는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지난 6월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테슬라 로보택시가 도로를 달리고 있는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테슬라는 지난 6월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모델Y 차량을 이용한 자율주행 로보택시 서비스를 제한적으로 시작했고, 샌프란시스코로 이를 확대했다. 다만 현재까지는 무인이 아닌 안전요원이 동승한 상태로 운행된다.

투자은행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로보택시 시장은 오는 2030년까지 시장 규모가 250억달러(약 36조 7675억원) 이상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의 경우 지난 9월 이재명 대통령이 자율주행 관련 산학연 관계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지방 중간 규모 도시 하나를 통째로 자율주행 규제 샌드박스로 지정하자"고 말한 바 있다. 다만 2026년도 예산안에 따르면 자율차 상용화 사업 예산을 8273억원으로 늘리기로 했으나, 도시를 지정해 시범지구로 운영하는 방안은 반영되지 않았다.

설마 했는데 진짜…"테슬라 크게 제쳤다" 손익분기점 넘은 로보택시 업체




김성욱 기자 abc12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