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23일 제네바서 우크라와 종전안 논의"

마코 루비오 등 참석
"美·우크라·유럽 등 협상 참여"

마코 루비오 국무부 장관 등 미국 고위급이 23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우크라이나 측과 만나 미국이 마련한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평화구상을 논의한다고 악시오스 등 미국 언론이 22일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해당 제안을 수용할 시한을 추수감사절인 이달 27일로 설정한 바 있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 당국자 2명과 유럽 소식통 3명은 제네바에서 열리는 협상에 미국과 우크라이나뿐 아니라 독일, 프랑스, 영국 등도 참여한다고 전했다. 미국 대표단은 루비오 장관 외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특사와 댄 드리스컬 육군 장관 등으로 구성된다. 드리스컬 장관은 지난 20일 우크라이나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을 만나 미국의 평화구상 초안을 전달했고 이날 제네바에 도착했다고 CNN이 전했다.

"美, 23일 제네바서 우크라와 종전안 논의"

미 당국자는 악시오스에 "이것(평화구상)이 우크라이나에 최선의 제안이 되도록 그들과 계속 협력 중"이라며 "우리는 그들의 입장이 뭔지 말할 수는 없지만, 이 제안은 미국, 우크라이나, 러시아 간 협력을 포함해왔다"고 말했다.

총 28개 조항으로 구성된 미국의 평화구상은 미국과 러시아가 먼저 만나 만든 것으로 러시아에 훨씬 유리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우크라이나에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와 유사한 방식으로 미국과 유럽의 '집단방위' 방식 안전보장을 약속하고 있지만,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 전체를 러시아가 가져가고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차단 등의 내용이 담겼기 때문이다.


이에 미국 내에서는 민주당을 중심으로 러시아에 대한 지나친 보상안이라며 반발이 일고 있다.


우크라이나도 불만이 가득하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구상의 초안을 받은 다음 날인 21일 "존엄성을 잃거나 핵심 동맹국을 잃을 위험을 감수하거나 어려운 조항 28개를 받아들이거나 혹독한 겨울을 보내야 하는 상황"이라며 "우리는 미국 및 모든 파트너와 차분히 협력하고 주요 파트너와 함께 건설적인 해결책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이번 미국과 우크라이나 간 고위급 회담에서 기존 구상에서 수정이 이뤄질지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수정이 이뤄질 수 있다고 시사했다. 그는 이날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크라이나에 제안한 구상이 최종 제안이냐는 물음에 "아니다. 내 최종 제안이 아니다"라고 답했다.





오규민 기자 moh01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