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의료격차, 국가가 나서야 할 시점”

국립의대 설립 촉구
제3차 시·도민 간담회 24일 개최

경상북도의 숙원사업인 국립 의과대학 설립 논의가 한층 더 속도를 낸다. 경상북도 국립 의과대학 설립 범 시·도민 추진단(단장 이용욱)은 24일 국립경북대학교 본관 별동 대회의실에서 제3차 시·도민단체 간담회를 열고, 지역 의료체계 정상화를 위한 공조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한다.

안동경국대학교 전경

안동경국대학교 전경


이번 간담회는 지난 6월 열린 제2차 회의 이후 약 5개월 만에 열리는 자리로, 경북·안동 지역 시·도민단체, 국립경국대 총동문회, 정태주 총장 및 대학 보직자 등 약 30명이 참석한다.


참석자들은 경북이 직면한 의료취약 현실을 구체적으로 점검하고, 지역 의료 불균형 해소의 해법으로서 국립의대 신설의 당위성을 심층 논의할 예정이다.

간담회에서는 ▲경상북도 의료환경의 구조적 한계 ▲국립의대 설립 추진 현안 보고 ▲지역사회·대학·지자체 간 연계 협력 방안 등을 중심으로 실질적인 실행 과제를 도출한다.


이는 단순한 지역 요구를 넘어, 국가적 차원의 공공의료 기반 확충을 위한 공론화의 장이 될 전망이다.


정태주 국립경국대 총장은 "양질의 의료서비스가 특정 지역에 편중된 현 상황은 더는 방치할 수 없는 국가적 과제"라며 "대학은 지역민의 건강권을 지키기 위해 범 시·도민 추진단과 함께 국립의대 설립 준비를 한층 더 체계적으로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용욱 추진단장은 "시·도민단체, 대학, 지역사회, 지자체가 한 방향으로 힘을 모아야만 국립의대 설립이라는 숙원에 닿을 수 있다"며 "경북의 의료 미래를 위한 지속적인 참여와 지지가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국립경국대는 오는 12월 17일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임미애·김형동 국회의원 공동주최, 경상북도와 22개 시·군 후원으로 '경상북도 국립의대 설립' 국회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경북·전남 등 의료 소외 지역의 구조적 불균형을 집중적으로 진단하고, 국립의대 설립 필요성에 대한 국가 정책적 방향을 각계 전문가와 지역사회가 함께 모색할 예정이다.


"경북의 의료 공백은 더는 지역 문제로 머물 수 없다. 국립의대 설립 논의는 이제 국가 차원의 결단이 요구되는 국정 어젠다로 떠올랐다."





영남취재본부 권병건 기자 gb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