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청년층 사이에서 '서울병(Seoul Syndrome)'이라는 신조어가 퍼지고 있다. 말 그대로 '서울을 그리워하고 동경하는 마음이 병처럼 깊어졌다'는 의미로, 샤오홍슈와 도우인 등 중국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많이 등장하는 단어다. 처음엔 K팝 공연을 보기 위해 서울을 찾은 중국 팬들 사이에서 유행했으나, 이제는 '서울'이라는 도시 전반에 대한 호감 표현으로 그 의미가 확장하고 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22일 33만명의 팔로워를 보유한 한 중국의 한 인플루언서는 도우인을 통해 서울을 언급한 글에서 "K팝, 영화, TV, 게임 등 한국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아시아 최고 수준"이라며 "한국의 미적 감각과 가치관은 유럽이나 미국보다 아시아권 대중에게 더 쉽게 받아들여진다"고 평가했다. 해당 게시물에는 "서울 사람들은 법을 준수하고 정직한 삶을 산다", "진정한 엔터테인먼트 강국", "한국 드라마가 재밌다는 건 부정할 수 없으며, 나는 K드라마에 중독됐다", "한국에 다시 가서 열기를 느끼고 싶다" 등의 댓글이 이어졌다.
중국판 틱톡인 도우인에 한국 관련 영상이 잇달아 올라오고 있다. 도우인
'서울병'이라 불리는 이 현상은 K팝 공연을 보기 위해 서울을 방문했던 중국인들이 귀국 후 "서울병이 재발했다"는 글을 올리며 확산하기 시작했다. 특히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이 장기화하면서 중국 내에서는 K팝 콘서트가 9년째 열리지 않고 있다. 그사이 K팝은 일본, 미국, 유럽 등 해외 시장으로 적극 진출하며 영향력을 더욱 키워왔다. 이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중단됐던 오프라인 콘서트가 재개되자, 한국을 직접 찾는 중국 팬들이 늘었다.
여기에 더해 편리한 대중교통, 안전한 치안, 24시간 운영되는 편의점 등도 서울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도시 인프라에 대한 높은 만족감과 K컬처에 대한 관심이 결합하면서 서울은 단순한 관광지를 넘어 중국인들에게 '다시 가고 싶은 도시'로 자리매김한 셈이다.
이러한 현상은 과거 일본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회자됐던 '파리 신드롬'과는 정반대의 흐름이다. 파리 신드롬은 파리에 대한 과도한 환상을 안고 방문한 이들이 이상과 현실의 괴리로 인해 겪는 정신적 스트레스를 말한다. 예상보다 만족스러운 경험이 '그리움'과 '재방문 욕구'로 이어지는 서울병과 다른 점이다.
'서울을 떠나면, 병이 난다'는 내용의 글. 샤오홍슈
이 같은 흐름은 중국인들의 한국 여행 수요 증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올해 한국을 가장 많이 찾은 국가는 중국이었다. 1∼9월 방한객은 1408만명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6%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중국(424만명) ▲일본(267만명) ▲대만(141만명) ▲미국(110만명) ▲홍콩(46만명) 순이었다.
다만 '서울병'을 중국인 관광객 전반의 보편적 정서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일부 중국 관광객들은 한국 체류 중 언어 장벽이나 인종 차별 등으로 불편을 겪었다고 토로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서울 성수동의 한 카페는 공식 SNS를 통해 '미안하지만 우리는 중국인 손님을 받지 않는다'는 영어 문구를 올려 논란을 빚었다. 해당 카페 사장은 일부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반중 감정이 격해진 시기에 중국과 한국 손님의 갈등을 없애기 위해 잠깐 받지 않는 것"이라는 취지로 해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해당 카페는 문제의 문구를 삭제했다.
서울 종로구 경복궁에서 중국인 단체 관광객 인솔자가 길을 안내하고 있다. 강진형 기자
그런가 하면 최근 대구 북구의 한 음식점도 SNS를 통해 중국인 손님을 거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가게는 "중국인 안 받는다"며 "매장에 한국 손님들이 시끌벅적한 건 좋지만, 중국인이 시끌벅적한 건 원하지 않는다"고 했다. 이어 "Only No China restaurant"라는 문구도 덧붙였다.
중국에 대한 한국 내 여론도 우호적이지 않은 상황이다. 동아시아연구원(EAI)이 지난 6월 국내 성인 1509명을 대상으로 동아시아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중국에 대해 부정적인 인상을 가진 응답자는 66.3%로 긍정적인 인상을 가진 응답자(25.6%)의 두배 이상이었다. 중국에 대한 인상이 좋지 않은 이유로는 ▲국민성과 행동이 비호감이기 때문(58.1%) ▲정치체제가 공산당 일당 지배체제이기 때문(39.5%) ▲중국의 경제적 강압과 보복 때문(36.9%) 등이 꼽혔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